사람들은 이제 뉴스를 알기 위해 아침에 종이신문을 읽거나 시간 맞춰 텔레비전 앞에 앉지 않는다. 언제 어디에서나 틈틈이 PC나 스마트폰, 태블릿을 통해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듣고 보고 있다. 인터넷이 곧 커뮤니케이션이고 네트워크와 플랫폼이 세상을 연결하는 창구다. 이미 뉴스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보는 것이 손쉽고 익숙하게 바뀌고 말았다.

문제는 네이버나 다음카카오가 자기들에게 유리한 방식에 따라서 세상을 비춰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포털이 뉴스를 연결하는 방식은 철저하게 수익 논리 중심이요, 수익성 앞에 언론의 공적인 기능과 국민의 알 권리는 무시당하거나 외면당하고 있다. 한때 뉴스를 인기 위주로 편집까지 하여 물의를 빚었던 네이버가 최근 뉴스 창을 여는 방식을 바꿨지만, 창틀은 여전히 일그러진 그대로여서 여론 또한 왜곡될 수밖에 없다.

네이버 모바일 앱에서 언론사를 선택할 수 있는 뉴스 구독 대상에는 자기들끼리 콘텐츠 제휴사로 선정한 44개의 서울 매체만 포함되어 있을 뿐 지역 언론은 아예 빠져있다. 서울 이외 지역 주민들이 자기 사는 곳의 뉴스를 알고 싶어도 한참 둘러 찾아야만 하게끔 검색엔진을 만들어 놓았으니 비수도권 지역민들에게는 이런 차별이 없다. 한발 더 나아가 지역 언론사가 게재한 뉴스라 하더라도 서울의 콘텐츠 제휴사들이 베껴 쓴 기사가 먼저 올라오게 해놓았으니 횡포를 부려도 정도를 벗어났다. 네이버는 오로지 검색 숫자와 광고 수입에 매달리는지 언론의 민주성과 공익성, 여론의 다양성에는 관심을 털끝만치도 보이지 않는다.

네이버와 같은 공룡 매체를 키운 것은 법제도 상의 허점 때문이다. 뉴스는 생산자에게 원천적인 권리가 있다. 포털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으면 뉴스를 생산하고 제공한 언론사 홈페이지로 바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법제화하면 해결될 일이다. 뉴스를 소비자가 많이 찾아 광고수익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언론사와 포털이 합리적으로 배분하면 된다. 최소한 콘텐츠 제휴 대상에 지역신문발전위원회가 선정한 일간지나 주간지를 포함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어떻게 뉴스를 수익 도구로 삼아 여론을 왜곡시킬 수 있단 말인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