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발전연구원 정책 브리핑
지난해 6만 7807명 외지 유출
도내선 창원·김해로 이동 편중
"청년 친화적 여건 만들어야"

20∼30대 청년들이 경남을 떠나는 이유는 단연 '일자리' 때문이었고, 일자리를 찾아 가장 많이 떠나는 지역은 '수도권'이었다.

'2030 청년' 세대가 차지하는 인구 비율 자체도 급격하게 줄어든 데다,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과 부산으로 떠나는 청년들은 계속 이어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경남발전연구원이 최근 발행한 정책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경남지역 30∼34세의 인구 비중은 베이비붐 세대인 55∼59세의 62%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가 10명이라면 이 중 30대 초반은 6명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불균형은 도내 군 지역에서 더욱 증폭된 것으로 나타났다. 군 지역의 30대 초반 인구 비중은 베이비붐세대 대비 36%였다. 반면, 80세 이상 인구 수는 베이비붐 세대에 육박하는 91%에 이르렀다.

이처럼 청년 세대가 경남 전체에서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줄어드는 데다 유출세 역시 꾸준히 이어지고 있었다.

2018년 경남의 2030세대 중 총 6만 7807명이 외지로 떠났다. 이 중 2만 3295명(34.4)이 수도권으로, 2만 847명(30.7%)이 부산으로 이동했다. 이 중 이동 이유를 확인할 수 있는 세대주 자격을 지닌 2030세대는 4만 1545명인데, 그 사유를 살펴보니 직업 63.9%, 주택 13.1%, 교육 12.2% 순이었다.

직업을 이유로 경남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청년 중 40.4%는 수도권으로, 25.3%는 부산으로 떠났다. 이어서 경북(6.3%), 대구(5.6%), 울산(4.6%) 순이었다.

경남도 내에서의 2030세대 이동 현황에서도 그 편중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 5년간 경남 도내에서 기존에 살던 곳에서 다른 기초지자체로 움직인 2030 청년은 1만 4818명이었다. 이 중 창원시로 움직인 비중이 26.4%였다. 이어서 김해(17.1%), 진주(15.4%), 거제(7.3%), 양산(6.9%) 순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도내 10개 군 지역으로 움직인 비중은 14.8%에 그쳤다.

이에 대해 경발연 심인선 연구위원은 "타 광역 지자체로의 이동과는 별도로, 도내에서도 도시의 중핵지역이라 할 수 있는 창원, 진주, 김해 등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군 지역으로의 이동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청년 이동에 따른 군 지역의 대책 마련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심 연구위원은 특히 타 지자체로 유출되는 청년 세대를 붙잡기 위한 대안도 제시했다. 단기적인 보조금 지원 정책에서 벗어나 청년의 자율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사회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심 연구위원은 '인구소멸'에 대한 과도한 걱정보다는 청년 친화적인 삶의 공간과 공동체를 재건해 나가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연구위원은 "인구가 줄어들면 행정 지역은 재편될 수 있겠지만 (지역민의) 삶이 단절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방소멸이라는 무자비한 말로 지자체가 소멸을 막는 이주자 대책을 내놓는 현상" 자체가 '자치단체' 중심의 담론이지 '지역민'을 위한 대안은 아닐 수도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이에 심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 거주 인구를 늘리기보다는 청년이 관심을 가질 매력적인 일을 늘리는 데 주력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청년의 자율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