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종·가출 사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신고접수도 증가하고 있어 향후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경남지역 실종·가출 사건은 2016년 5129건, 17년 5359건, 18년 7586건이며, 우리 김해지역도 16년 858건, 17년 894건, 18년 1496건으로 매년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2018년 각 경찰서에 실종전담팀 및 전담요원이 신설·배치되면서 실종아동 등(18세 미만, 지적장애인, 치매환자)과 여성에 대해서는 총력대응을 하고 있다.

현재 경남지역에서 실종·가출 신고접수가 된 지 1년이 지난 후에도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계속 소재수사 중인 사람은 305명이다. 이 중에는 경제적·가정문제 등의 이유로 자발적인 가출도 있지만, 어린 시절 가족과 헤어진 아동과 지적장애인, 치매환자와 같이 집을 스스로 찾아오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경찰은 장기 실종·가출인의 가족 대상으로 유전자 채취를 시행하고 있다. 실종아동 등 신고접수일로부터 1년 이상인 실종·가출인의 가족(직계 존·비속) 대상으로 유전자를 채취하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어 연구원에서 보관 중인 실종아동 및 가출인의 유전자가 있는지 대조·확인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경남 합천군에서 1990년(당시 18세)에 헤어진 지적장애인 아들을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사천시 소재 장애인 시설에 보호 중인 것이 확인되어 30여 년 만에 가족이 상봉한 사례가 있었다. 현재 아동·장애인·노인 시설에서는 무연고자들 대상으로 반드시 유전자 채취를 의뢰하여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보관하고 있어 실종자를 찾는 가족들의 유전자 채취가 이루어진다면 가족 상봉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태환.jpg
더불어 어린 시절 가족과 헤어져 보육원에 있었거나, 입양된 사람 중 현재 보호시설에 있지 않고 일반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본인이 헤어진 가족을 찾고 싶은 경우 거주지 관할 경찰서에 방문하여 유전자 채취를 해볼 필요가 있다. 만약 헤어진 가족의 유전자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관 중이라면 가족을 상봉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