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창원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원전 산업' 포럼에서 단연 주목을 받은 이는 원전 관련업체 대표였다. 국내 최고 명문대 교수가 주제발표자로 나서 1시간 넘게 원전산업 경쟁력 보존을 강조했지만,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반대하는 논리 그 이상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이날 창원에서 원전 관련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2명의 대표는 답답함과 참담한 심경을 토로하면서 정부에 대한 서운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일부 정치인과 패널이 "이번 정권에서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통해 시간을 번 다음, 차기 정권에서 이를 바꾸자"고 선동한 것과는 결이 달랐다.

이들 기업 대표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30년 넘게 매달린 이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당분간 시간을 달라는 것"이라며 "그렇지 않고서는 원전 기업 고사는 물론 이미 고령화된 기능공도 다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5월 신고리 5호기에 납품이 끝나면 일감이 없어 직원들에게 미리 사직서를 받아뒀다는 얘기에는 현장 분위기가 숙연해지기도 했다.

사실, 포럼 주최 측이 탈원전과 관련 발표를 해줄 중소기업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후문도 들린다.

자칫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기업으로 찍혀 불이익을 받을까 하는 우려 때문에 많은 기업이 패널 참석을 고사했다고 한다. 용기를 내 이날 참석한 두 중소기업 대표의 발언은 "살려달라"는 절규나 다름없었다.

이들이 제시한 해법도 공감을 사기에 충분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원전 관련 기업의 실태조사를 하고, 자금지원이나 수출 활로를 뚫어달라는 요구였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발언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는 정부 정책을 반대하기보다는 위기에 빠진 회사를 구하려는 대표의 이유 있는 항변에 가까웠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쉽게 바뀌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원전 관련 기업이 처한 어려움을 보듬는 것도 분명히 정부의 몫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