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날이다. 일제의 폭압적 점거에 대항해 남의 땅으로 망명한 애국지사들이 상해에 모여 임시정부를 구성했다. 이 임시정부의 수립은 대한민국으로 역사를 잇게 한 의미가 있으며 조국 해방과 독립을 위해 몸 바친 애국지사들의 상징이다. 그러나 임정 수립 100년을 맞이한 오늘의 대한민국은 이 뜻깊은 날을 제대로 기념하지 못하고 있다. 임시정부에 대한 인식 부족과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건국절로 하자는 주장 때문이다.

건국절이라는 말은 애초에 잘못된 말이다. 건국은 나라를 세웠다는 뜻인데 그 전에는 나라가 없었다는 것을 인정할 때 가능한 단어이다. 우리 민족은 흔히 5000년 역사를 이어 왔다고들 한다. 그 시초는 단군의 개천이며 하늘이 열렸다는 것은 이때 나라를 세웠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개천절을 기념하고 있다. 건국절이건 제2 건국절이건 잘못 설정된 것이다. 나라를 두 번 열면 우리 역사 전체를 부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광복절도 있다. 광복절은 빛을 다시 찾았다는 뜻으로 일제의 어둠이 걷히고 다시금 나라를 찾았다는 뜻이다. 건국을 말하면 광복을 부정하는 것이 되며 수많은 독립투사의 희생을 무시하는 것이 된다. 우리 역사는 고려, 조선 등을 새로 열었지 나라를 세웠다고 표현하지 않는다. 역사는 함부로 설정하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건국절을 주장하는 것은 다분히 정치적인 이유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상해 임시정부는 그들이 내세우며 건국의 아버지라 칭송하는 이승만 전 대통령도 인정하고 대한민국이 상해 임시정부를 계승했다고 말했다. 그 자신이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이었다는 것 때문일 수도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개천절과 광복절 명칭 설정에서 보듯 역사를 외면하면 설 곳이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년을 맞아 이제는 논란의 종지부를 찍고 그 의미를 국민 모두 아로새길 때이다. 임시정부는 이데올로기 갈등의 상처를 입었으며 오늘날 대한민국은 남북으로 갈라져 있다. 이 현실을 극복하고 온전한 대한민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라도 국민 모두 이날을 기념해야 마땅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