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위해? 와닿지 않는다
시행 4개월, 유용성 생각해볼 때

모 TV예능프로에서 우리나라 음식을 중국에서 판매하는 것을 본 적 있다. 거기에서 중국인 대부분이 음식 계산을 스마트폰으로 하고 있었다. 자세히 보니 QR코드를 이용한 결제방식이었다. 우리나라에도 현재 QR코드 방식의 결제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서울과 창원, 부산 등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는 '제로페이'가 그것이다. 창원은 작년 12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제로페이의 사용빈도는 아직 매우 낮다. 이렇다 보니 제로페이를 사용하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 물론 4개월이라는 짧은 시행 기간과 부족한 홍보 탓일 수 있다. 하지만 단지 그 이유만이 낮은 이용 빈도의 문제일까.

먼저 제로페이가 생겨난 배경을 알아보자.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줄여주고자 시행된 정책이다. 치솟는 임대료와 늘어나는 임금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정작 정책대상인 소상공인에게 큰 도움이 되어 보이지는 않는다.

제로페이 결제방식은 구매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장에 비치된 QR코드를 찍어 직접 이체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몇 가지의 번거로움이 생긴다. 먼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QR코드를 찍어 금액을 직접 입력 후 이체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결제빈도 중 신용카드가 78.7%를 차지한다. 간단한 신용카드방식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제로페이는 그저 번거로운 결제방식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 지자체가 한 가지 간과한 문제가 있다. 제로페이는 계좌이체 방식이다. 즉 구매자의 통장에 잔고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통장 잔고가 없다면 무용지물이 되어 버린다. 결제금액을 다음 달에 지불하는 신용카드 사용자가 즉시이체방식의 제로페이를 얼마나 사용할지 생각해봐야 할 문제이다.

그리고 신용카드는 대중교통이나 이동통신요금 할인, 마일리지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이 있다. 그에 반해 제로페이는 아직 이런 혜택이 없다. 사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너무 한정적이다. 지자체에서는 그저 소상공인 가맹점 수만 늘리기 급급한 모습이다. 그나마 그 대책으로 제로페이로 결제한 금액의 40%를 소득공제해준다. 하지만 이것 또한 아직 법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라 올해 말에 가능할지는 그때 가봐야 알 수 없다.

그렇다고 소상공인들에게 제로페이가 그다지 편리한 것만은 아니다. 만약 구매자가 제로페이로 결제를 하더라도 대표자가 그 자리에 없다면 결제확인이 어렵다. 그 이유는 대표자의 휴대폰으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직원을 등록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직원이 아르바이트생이라면 등록 또한 쉽지 않다. 그리고 결제확인도 한참 뒤에야 휴대폰으로 전송이 되는 불편함이 있다. 거기에 현재 소상공인 카드수수료가 1%대로 낮아져 제로페이의 매력을 못 느끼는 것 또한 하나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김형도.jpg
제로페이는 아직 4개월밖에 안 된 새내기 정책이다. 그만큼 미숙한 점이 많다. 그래서 현재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혜택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신용카드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과연 제로페이가 얼마나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생각해봐야 할 점이다. 지금보다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 것이며 진정 제로페이가 모두에게 유용한 정책인지 한 번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