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은 헌법, 법률, 외교적 조약 비준의 법률 행위, 예결산, 기금, 조세법률의 국가 재정 통제, 국정감사, 탄핵, 헌법기관 인사권 등을 통해 국정에 참여한다. 국회의원은 대한민국이 처한 시대적 과제에 대한 대책을 연구하고, 유권자와 소통하여 민생을 돌보며, 정치력을 발휘하여 진실되게 행동하여야 할 책무를 지닌다. 4월 3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창원성산과 통영시·고성군 선거구에 거주하는 19세 이상의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자신들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창원성산에서는 18만여 유권자 중 정의당 여영국 후보가 23% 지지로, 그리고 통영·고성에서는 16만 명의 유권자 중 자유한국당의 정점식 후보가 30% 지지로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유권자 중에는 기권자, 연고에 의해 투표한 사람, 후보자·정당·정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가운데 투표한 사람도 많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집합적으로는 행한 투표의 결과가 현명한 선택으로 귀결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제도이다. 물론 유권자의 연령 제한, 자유로운 선거운동의 보장, 투표의 용이함 등이 투표결과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그렇다고 현행 선거의 장점을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

이번 선거는 집합적 선택의 측면에서 경제와 민생의 중요성이 부각된 선거였다. 통영과 고성은 조선업의 하락이 어느 정도 진정되는 곳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경기 하강의 고통을 느끼고 있고, 창원성산은 자동차산업과 중공업의 부진이 좋은 일자리가 풍부하던 지역에 하강의 고통을 안기고 있다. 이번 선거의 두 번째 이슈는 공정과 통합의 가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염원이 담겨 있다. 현재의 물질적 어려움보다는 희망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 유권자들의 분노를 가져온다. 지도자의 진실성, 특권의 배제, 공정한 경쟁이 보장된 사회에서는 희망을 품어볼 만하다. 미래의 일자리 불안은 증폭되어 정치적 불만으로 나타난다.

이번에 선출된 국회의원들은 경남의 미래를 헤쳐나갈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미래는 경제적 비전만이 아니라, 특권이 없는 미래 사회에 대한 염원이다. 그렇게 해야 유권자들은 정치인을 믿고 현재의 생업에 활력을 갖고 충실할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