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수 집계 때 오차 생겨
간접효과 등 종합적 평가 필요

4월 축제 시즌이다. 경남은 진해군항제·창녕낙동강유채축제 등 꽃축제만 13개다. 각 지자체는 축제 후 '경제 파급효과'를 빼놓지 않고 거론한다. 믿을 만한 수치인지, 그 산출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단순 셈법 '1인 소비액×관광객 수' = 축제 경제적 효과는 일반적으로 '직접 효과' '간접 효과'로 구분된다. '직접 효과'는 관광객 소비 지출을 바탕으로 한다.

'간접 효과'는 고용·세수·지역개발·승수(두 가지 이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 효과 등을 담고 있다. 이 가운데 '간접 효과'는 한국은행 광역 단위 '산업연관표'에 관광객 소비 지출을 대입해 산출하는 식인데, 셈법이 복잡하다. 이에 행정기관은 단순화한 '직접 효과'를 주로 내세운다.

'직접 효과'는 관광객 표본 설문 조사로 1인당 평균 지출액을 산출하고, 축제 기간 전체 관광객 수를 곱하는 방식이다. 관광객 수 산출은 지자체별 차이를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창원시는 진해군항제 때 CCTV를 통해 차량을 파악하는 식이다. 즉 장복터널·안민터널 등에서 유입 차량을 집계, 버스는 정원의 80%, 승용차는 4인으로 집계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7년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는 '소비 지출'을 방문객 설문으로 산출했다.

설문 응답자가 일행 총 지출액을 △교통비(주유비·주차료·통행료·대중교통요금) △숙박비(호텔·펜션·콘도 등) △식음료비(축제 개최지에서 지출한 음식값·음료비) △유흥비(축제장 밖에서 지출한 관람료·노래방·술값 등) △쇼핑비(기념품·농특산물 구매비 등) △기타(위에 포함되지 않은 체험비·입장료 등)로 나눠 기재하는 식이다.

전국 40여 축제 설문 결과, 1인당 평균 지출액은 5만 3661원이었다.

도내 축제 가운데 '산청한방약초축제'가 12만 576원으로 평균을 훌쩍 넘었다. 특히 숙박비가 3만 4741원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밀양아리랑대축제'는 4만 5999원에 머물렀는데, 숙박비가 3578원으로 체류형 축제로 자리 잡지 못했음을 보여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러한 소비 지출액에 전체 관광객 수를 곱해 경제효과를 산출했다. 그 결과 '산청한방약초축제' 249억 4800만 원(20만 6914명), '통영한산대첩축제' 314억 2600만 원(35만 4228명), '밀양아리랑대축제' 188억 5200만 원(40만 9840명)으로 나타났다. 1인 소비 지출액도 중요하지만, 결국 관광객 수가 경제효과를 좌우하는 셈이다.

◇'종합 분석 및 데이터 축적' 필요 = 도내 대표 축제인 '진해 군항제'가 한창 진행 중이다.

창원시는 매해 군항제 '경제 파급 효과'를 발표하고 있다. 시는 지난 2014년 860억 원(306만 명), 2015년 714억 원(252만 명), 2016년 766억 원(270만 명), 2017년 822억 원(290만 명), 2018년 1719억 원(310만 명)이라는 수치를 내놓았다. 2017·2018년만 놓고 보면 관광객은 불과 6.8%(290만 명→310만 명) 늘었는데, 경제 효과는 무려 109%(822억 원→1719억 원) 증가했다. 시는 이에 대해 외국인 관광객이 14만 명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했다.

이처럼 창원시는 단순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간접 효과'도 함께 고려하는 등 비교적 정밀한 접근을 하고 있다.

창원시정연구원은 지난해 '창원시 지역축제의 관광 파급효과 극대화 방안' 보고서를 내놓았다. 연구원은 2017년 기준으로 지역 대표 축제 4개, △진해군항제 △마산가고파국화축제 △진동미더덕&불꽃낙화축제 △이주민과 함께하는 다문화축제 맘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방문객 수 489만 8900명, 1인당 평균 지출액 3만 9750원으로 도출됐다.

이를 바탕으로 했을 때 생산 유발 효과 2761억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1044억 원, 고용 유발 효과 3687명으로 나왔다. 하지만 이 또한 추정치일 뿐, 현실적으로 '축제 경제 효과'를 무 자르듯 산출하기란 불가능한 현실이다.

창원시정연구원 관계자는 "우선 기본 바탕인 관광객 수를 정확하게 집계하기가 어렵다"며 "지역민인지, 외지인인지, 외국인인지에 따라 소비 지출액도 크게 달라지는데 이 또한 파악하기 쉽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러 요인을 종합 분석하고, 빅데이터가 한 해 한 해 축적된다면, 오차를 좀 더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