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지아·임수현 작가가 말하는 소설
글 만들어지는 과정 이야기하고
각자 글 쓰는 이유·목적 털어놓고
진주 소소책방에서 핀 이야기꽃

조금 지난 일이지만, 요근래 진주 헌책방 소소책방에서 소설 강연이 두 번 있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작가회의가 지원하는 작가와 함께하는 작은 서점 지원 사업으로 진행된 행사였는데, 마침 소소책방 조경국 대표와 인연이 닿은 소설가 정지아(54), 임수현(43) 작가를 부른 거죠.

▲ 정지아 작가. /이서후 기자

정지아 작가는 26살이던 1990년 소설 <빨치산의 딸>로 등단 전부터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습니다. 그러고는 199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소설부문에 당선이 됐죠. 2006년 제7회 이효석문학상, 2008년 올해의 소설상, 2009년 제14회 한무숙문학상을 받았고, 요즘에는 고향인 전남 구례에서 지내고 있다고 하네요.

▲ 임수현 작가. /이서후 기자

임수현 작가는 하동이 고향입니다. 경상대를 졸업하고 진주에서 직장 생활을 잠시 하다가 서울로 갔죠. 2008년 <앤의 미래>란 소설로 문학수첩 신인상에 당선됐고요. 문학과지성사를 통해 2011년 소설집 <이빨을 뽑으면 결혼하겠다고 말하세요>, 2012년 장편소설 <태풍소년>을 잇따라 내며 깊이 있는 사유와 그에 걸맞은 문장력을 갖춘 작가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최근 소설집 <서울을 떠나지 않는 까닭>(문학수첩, 2018)을 냈습니다.

지역에서는 이런 소설가들에게 소설 쓰는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잘 없습니다. 그래서 이분들 강연을 따로 정리해야겠다 싶었죠. 순수소설을 쓰는 작가들이니 이를 염두에 두고 읽으시되, 전반적인 글쓰기에 참고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소설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임수현 작가는 소설을 '시작한다'가 아니라 소설이 '시작된다'고 표현합니다. 소설 쓰는 동기가 대체로 바깥에서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임 작가에게는 이게 어떤 문장의 형태로 찾아온다고 합니다.

"어떤 문장들이 오면, 꼭 제목을 만들어서 따로 보관을 해 둬요. 저는 이것을 '서랍을 만든다'고 표현해요."

이 문장들은 줄거리이기도 하고, 소설의 첫 문장이 되기도 합니다. 임 작가에게는 이런 문장들을 담은 수많은 서랍이 있는 거죠. 그리고 이 서랍들에 차곡차곡 문장이 쌓이면 서랍 하나가 한 편의 소설이 되는 겁니다.

정지아 작가는 주로 사람들에게 영감을 받는다고 합니다.

"저는 대개 어떤 인물로부터 시작해요. 어떤 인물과 관련한 장면이 머릿속에서 잊히지 않을 때가 있어요. 왜 그럴까 생각하다 보면, 보통 그 장면 안에 주제가 숨어 있어요. 평소에 들어왔던 여러 사람의 이야기 중에 그 주제에 합당한 것들을 끌어다가 쓰는 거죠."

이렇게 소설가들에게 소설은 다가오는 것입니다. 임수현 작가는 이를 '빙의'라고 표현하기도 하죠. 어떤 느낌인지 아시겠죠?

◇소설을 쓰는 마음

"소설이란 건 아무도 돌아보지 않는 어떤 것, 예를 들어 일회용 종이컵, 동네 아줌마 아저씨, 일상 속 사물이나 삶을 가만히 들여다 보는 일이에요. 그 속에서 빛나는 순간을 포착하는 마음, 이것이 소설을 쓰는 마음인 것 같아요."

정 작가의 말입니다. 소설을 쓰는 마음이란 표현이 좋네요. 나이가 들고 삶이 익숙해질수록 우리는 세상에 대해서 마치 다 아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집니다. 사실은 자신만의 생각으로 굳어 있는 거죠. 이런 마음으로 소설을 쓰면 전형적인 이야기, 전형적인 인물, 뻔한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겠죠. 그래서 정 작가는 싫은 것, 이해를 못 하겠는 거라도 그게 왜 그런 지, 포기하지 말고, 찬찬히 오래오래 들여다보라고 권유하더군요. 이는 소설이 아니라 글을 쓰는 일에 가장 기본적인 마음이라면서요. 익숙한 것을 버리고 머뭇거리는 생각, 이것이 소설을 만드는 원동력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쓰는 소설도 사실은 작가의 경험과 삶의 이력을 통해 드러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적이기도 하죠. 그래서 임 작가는 결국 소설은 자신을 위해 쓰는 것이기도 하다고 말합니다.

"요즘 소설은 사실 소설가 자신을 위해 쓸 수밖에 없는 간절함이 있는 것 같아요. 솔직히 동서양을 통틀어 지금까지 수많은 위대한 작가가 다양한 방식, 다양한 소재로 소설을 썼잖아요. 이미 선점된 이야기들 안에서 지금의 소설가들은 결국은 자신을 이해하고 대면하고자 쓴다고 할 수밖에 없어요."

생각해보면 결국, 자기의 삶을 이해하는 일이 세상을 이해하는 일이기도 하네요.

◇빛나는 순간을 찾아서

"매일이 슬럼프 같아요. 한 번도 신나게 써 본 적이 없으니까."

등단 10년 차인 임 작가는 아직도 글 쓰는 게 두렵다고 합니다.

"소설을 읽는다는 게 독자에게는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겠죠. 반대로 소설을 쓴다는 건 끊임없이 질문을 찾아가는 일 같아요."

삶에서 제대로 된 답을 찾는 것보다 제대로 된 질문을 찾는 게 더 어렵다고들 합니다. 이렇게 힘들게 자신을 다독이며 나온 소설이기에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거겠죠.

정 작가는 이렇게 표현을 하더군요.

"소설가는 누군가의 아픔이나 슬픔 속에서도 빛나는 순간을 포착해서 세상에 보여주는 직업이에요. 그것으로 상처를 가진 누군가에 위안을 주는 거죠. 독자들이 작가가 포착한 그대로 느껴 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삶이 아름다울 수 있는 거 같아요."

소설이, 특히 순수소설이 잘 읽히지 않는 요즘입니다. 오히려 그렇기에 진지하게 삶을 숙고하고 힘겹게 문장을 이어가는 소설가들의 존재 자체가 더욱 빛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