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전체인구 350여만 명 중 농가인구는 27만여 명에 이른다. 이 중에도 농업을 전업으로 하는 이들이 70%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인구의 6% 정도가 농사를 전업으로 하는 인구다. 농업은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농업이 가진 사회공익적 기능에 있다. 생물다양성, 토양보전, 홍수 완화, 일자리 어려움의 완충, 도시민에게 건강한 먹거리 제공, 전통문화의 계승, 도시민의 휴양처 제공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농업이 살지 않으면, 그 어려움은 고스란히 도시민도 같이 지게 된다는 의미이다.

통일농기계품앗이경남본부는 북한에 보낼 트랙터 구입 모금 운동을 통해 트랙터 한 대를 사, 4월 27일 판문점에 보낼 예정이다.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어느 정도 허용되고 있고, 유엔 식량농업기구 북한 사무소의 농업진흥사업과의 연계 등을 통해 북한에 보낼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보인다. 북한과의 협력 사업 가능성은 변경지역에 공동 경작지를 설치하는 것, 중앙부처가 진행 중인 논 경작지 전환지에 대해 북한에 보낼 벼농사를 짓게 하는 사업, 종자 교류와 농기계의 공동 개발 등의 사업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농촌경제연구원도 금년도 10대 농정 이슈로 북한과의 협력을 선정하였다, 특히 남북한 관계가 풀리기 어려운 초기 단계에서는 민간의 인도적 지원을 통해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농업을 살리고 북한과 공생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희생이 아니라, 형제애, 동포애를 넘어서는 지속가능한 한반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경남은 북한과 적대적인 시기에도 딸기 종묘사업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바 있는 농업협력에 선도적인 지역이다. 이제 북한과의 공생을 통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은 시대적 대세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 경남에서 시작한 민간 교류에 발맞추어 도에서도 희토류 개발 협력, 진해부산신항의 물류 플랫폼 사업, 조선 협력 사업도 시동을 걸어야 한다. 경남의 어려움을 극복할 새로운 경제 영토는 바로 북한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