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살리기 '올인' 실현 가능성 '글쎄'
산업혁신·중기 육성 공감대
생활요금 인하·기업유치 등
임기 안에 실행될지 미지수

4월 3일 창원 성산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나온 후보들의 핵심 공약을 살펴보면 '지역경제 살리기'를 가장 앞세우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실현 방안과 유권자 공략을 위한 약속들은 저마다 달랐다.

강기윤(58·한국당)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 실정에 창원 경제가 죽어간다는 '틀(프레임)'을 짰다. 5대 공약 모두 경제분야였다. 이 중에서도 '탈원전 정책 반대'를 앞세웠다. 특히 정부가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을 중단시키면서 창원에 본사를 두고 있는 두산중공업과 285개 협력 업체가 존폐의 갈림길에 서는 등 창원시 경제 타격으로 이어지는 점을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또 대우조선해양 졸속 매각 반대를 내세워 창원 내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들이 기존 거래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약도 제시했다.

이재환(37·바른미래당) 후보는 중견·중소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인 판로개척과 투자유치에 초점을 맞춰 '창원형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설립을 약속하며 표심 공략에 나서고 있다. 미세먼지에 민감한 유권자들을 겨냥한 정책으로는 △공공형 실내놀이터·키즈카페 설치 △스모그 프리타워 시범 설치 공약도 내놓았다. 이와 함께 신세계 스타필드 창원 입점과 관련해 법인화를 통한 '스타필드 수익 창원 시민 환원'과 스타필드와 지역상권 및 전통시장 주력 판매 상품 이원화로 타 후보와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후보.jpg

여영국(54·정의당) 후보는 창원 제조업 혁신을 위한 공약으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확대 △재료연구소의 소재연구원 승격 △방위산업 지역투자 확대(연 2조 원) 등을 약속했다. 또 평일에는 8~9편, 주말에도 9~10편에 불과하다는 점을 내세워 창원 KTX 증편과 함께 수도요금·쓰레기봉투 값 등 생활요금 인하와 동별 주민복지시설 확충, 창원사랑상품권 1000억 원 발행, 자영업자 단체교섭권 보장, 임신·출산·돌봄 휴가 확대, 국공립어린이집·유치원 확대, 반송공원·대상공원 녹지보존 등으로 다양한 유권자 표심 공략에 나섰다.

손석형(60·민중당) 후보는 조선업 재건과 경남형 일자리를 위한 (가칭)경남공공조선 설립으로 대우조선해양의 현대재벌 특혜 매각을 막고, 조선산업 활성화를 약속했다. 더불어 남북 관계 진전 등 흐름에 맞춰 철도, 조선, 발전산업을 '남북경제협력산업'으로 지정해 새로운 시장을 확보하겠다는 공약과 1000억 원 통일펀드 조성, 대북경협기업 국가완전보장제 시행 등을 강조했다. 이 밖에 중소기업 살리는 납품단가 협상권과 초과이윤공유제 도입을 공약해 노동자 지지세 확산에도 힘을 실었다.

진순정(40·대한애국당) 후보는 마산해양신도시 인공섬(64만 2000㎡)에 게임업체 엔씨소프트 유치와 창원형 원전산업 중소기업 육성을 약속했다. 또 개신교와 보수층 유권자를 겨냥해 경남도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학생인권조례 제정에도 반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더불어 창원이 고 박정희 대통령이 계획한 산업도시라는 점을 강조하며 은퇴한 전직 노동자와 퇴직 공무원들이 주축이 된 은퇴자마을 추진 등을 약속했다.

김종서(63·무소속) 후보는 모든 국민에게 매년 1200만 원 이상씩 지급하는 국민공동소유기업경제법과 모든 중소기업 직원·비정규직 직원에게 매달 100만 원 이상씩 지급하는 공정경제법 등을 약속했다. 또 비정규직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비정규직 제도를 폐지하는 노동시장정상화법과 두 자녀 양육·교육비로 매달 200만 원 이상씩 19년간 지급하는 양육비지급법도 제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최저임금의 22%인 병사 월급을 최저 임금 이상으로 지급하는 병사급여 정상화법 등도 내놓았다. 하지만 김 후보 공약은 다소 실현가능성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