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 동력'기대 외면 대학에 시민 불만
구체적 활용방안 없이 표류
대학 관통도로도 개설 거절
터 반환운동 목소리 불거져

지역발전 동력으로 기대를 모았던 부산대 양산캠퍼스가 허허벌판으로 내버려져 애물단지로 전락한 가운데 시민 불만도 커지고 있다.

신도시가 들어선 물금지역 숙원사업 가운데 하나인 '양산캠퍼스 관통도로 개설'을 부산대가 교육환경 훼손 등을 이유로 반대하자 터 반환 운동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양산캠퍼스 관통도로'는 대학단지를 가로질러 물금 증산(물금로)과 범어지역(삽량로)을 잇는 720m 구간이다. 이 도로는 2002년까지 도시계획도로로 지정됐지만 캠퍼스 이전을 결정한 2003년 계획을 취소했다.

문제는 신도시 한가운데 들어선 양산캠퍼스가 통행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변한 것이다.

대단지 아파트 입주로 인구 12만 명이 사는 물금지역은 차량통행량 역시 늘어나 극심한 정체를 빚으며 애초 계획했던 도로를 개설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민원이 잇따르자 양산시는 2017년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계획에 도로 개설을 반영하려 했지만 교육부와 부산대 반대에 부딪혔다. 부산대는 대학단지 단절에 따른 교육·연구 환경 침해, 안전사고 발생 등을 이유로 내세우며 교육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지하차도 개설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보상비만 480억 원 규모로 전체 사업비는 1400억 원 수준이어서 실현 가능성이 없다.

김효진 시의원(자유한국당·물금 원동)은 "부산대가 실버산학단지를 개발하려면 교통영향평가를 거쳐야 하는데 결국 도로를 개설해야 한다"며 "오히려 부산대가 터 개발을 촉진하려면 적극적으로 도로 개설에 나서 시에 기부해야 할 상황인데 이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구체적인 캠퍼스 활용방안조차 제시하지 못하면서 양산시가 임시대책을 제안할 때마다 부산대가 부정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 역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부산대가 캠퍼스 이전을 결정한 배경은 IMF(외환위기)로 토지 분양에 어려움을 겪던 당시 한국토지공사와 장전캠퍼스 과밀 문제를 해결하려는 부산대 이해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공대 이전을 기대하며 양산시가 추진위까지 구성해 적극적으로 유치에 나섰던 결과다. 이에 따라 당시 부산대는 조성원가인 평당 15만 원 수준의 낮은 비용으로 터를 사들일 수 있었다.

하지만, 부산대는 캠퍼스 활용 구상이 뜻대로 이뤄지지 않자 한때 임시 골프장 조성을 검토하는 등 시민 기대와 어긋나는 행보를 보였다.

경남교육청이 특성화고를 캠퍼스 내에 설립하려고 협의에 나섰을 때도 부동산 시세에 맞는 임대조건 또는 터 맞교환을 내세워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무산된 바 있다. 조성원가에 불과한 값싼 비용으로 터를 사들이고도 국립대학으로 공공성보다 '땅장사'에만 열을 올리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양산시가 미세먼지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받은 캠퍼스 방치 문제를 보완하고자 부지 경계에 숲길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안했지만, 부산대와 불협화음을 보인 것도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성공적인 캠퍼스 조성을 위해 양산시가 지금까지 다양한 지원을 펼쳐왔지만 정작 부산대는 임시활용방안조차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캠퍼스와 병원단지 조성 초기부터 지금까지 국·도비를 비롯해 677억 원가량을 부산대에 지원했다"며 "이 가운데 양산시민 세금인 시비로 지원한 사업비만 해도 100억 원 가까운 규모인데 정작 시민 불편을 아랑곳하지 않는 부산대에 시민 세금을 계속 지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물론 근본적인 문제는 구체적인 캠퍼스 활용 방안을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부산대와 양산시가 대통령 공약사업인 동남권 의생명 특구 유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워낙 장기사업인 데다 유치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앞으로 방치된 캠퍼스를 둘러싼 시민 불만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