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의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이 8일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본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실제 인수합병에 이르기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우선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과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은 인수에 반대한다.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해양 임직원 고용보장을 약속했지만, 생산성 유지를 전제조건으로 달았다. 겨우 회복되고 있는 조선업이 다시 불황으로 일감이 줄어들면 사측이 추가 구조조정을 할 것이니 노동자들의 우려와 반대는 당연하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와 부산, 경남 산업계도 인수에 우려를 한다. 현대중공업과 산업은행은 협력업체 기존 거래선 유지를 약속했지만, 수주 물량이 줄면 대우조선해양 기존 협력업체가 먼저 타격을 입을 것이 분명하다. 현대중공업이 엔진, 추진기 등 핵심 기자재를 자회사 등을 통해 자체 생산하는 데 비해 대우조선해양은 거제, 창원, 김해, 부산 녹산 등의 협력업체에서 조달한다. 매각 영향이 부산·경남권에 광범위하게 미칠 가능성이 크다.

공정거래위원회와 유럽, 일본, 중국 등 해외 주요국가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 과정에서 독과점 심화를 근거로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중공업의 입지가 줄어 경쟁체제가 무력화될 수 있다.

20여 개 경쟁국 중에 단 한 곳이라도 반대하면 인수는 어려워진다. 세계 1, 2위인 현대중공업그룹과 대우조선을 합치면 1월 기준 선박 수주량 시장점유율이 21%로 3~4위의 6~7%를 압도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인 LNG 운반선은 점유율이 52%에 이른다. 지난해 8월 미국 반도체설계회사 퀄컴은 중국의 반대로 네덜란드 NXP반도체를 440억 달러(약 50조 원)에 인수하는 계획을 포기해야만 했다.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은 이번 계약이 국내 조선산업을 효율적으로 재편하면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치라고 한다. 저가경쟁 지양, 규모의 경제에 따른 자재비 절감 등으로 수익성 개선 효과를 기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업체들 간의 전략적 제휴로도 해결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로 인수에 따른 경제적 이득과 사회적 손실이 충분히 검토된 가운데 최종 결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