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수능을 준비하던 고3 시절, '4당5락'이라는 말이 주변에서 들리기 시작했다. 4시간 자면 합격하고 5시간 자면 떨어진다. 친구들은 "1시간이 대학을 바꾸겠냐?"라면서도, 밤늦게까지 자습실에서 자리를 지키곤 했다.

그런데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막이 오른 지금, '5당4락'이라는 말을 다시 들을 수 있었다. 5억 쓰면 당선되고 4억을 쓰면 떨어진다는 것이다.

13일 시행하는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서는 전국을 통틀어 1344명의 조합장이 선출될 예정이다. 조합장이 되면 수천만 원에서 억단위에 이르는 연봉과 임직원의 인사권, 경제 사업권, 예산 재량권 등 막중한 권한을 가지게 된다. 후보자들이 한 표, 한 표가 간절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후보자가 할 수 있는 선거운동방법은 선거공보, 선거벽보, 어깨띠·윗옷·소품, 전화, 정보통신망, 명함 6가지다. '공직선거법'에 비해 허용되는 방법이 적다보니, 후보자들은 다른 방법을 고민하다가 '돈'이 답이라는 잘못된 결론에 이르곤 한다.

얼마 전 광주지역의 축협 입후보예정자가 조합원 4명에게 200만 원을 건네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고발당한 일이 있었다. 입후보예정자 A씨는 5만 원권 지폐 10장을 고무줄로 묶은 뒤 조합원과 악수를 하는 방식으로 돈을 건넸다. 위 사건을 최초로 제보한 4명은 선관위로부터 각 2000만~3000만 원의 포상금을 지급받았다. 이번 조합장선거에서 선거관리위원회가 위반행위를 인지하기 전에 이를 신고한 사람은 최대 3억 원 이내의 포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금전·물품 등을 제공받은 사람은 받은 금액의 10배 이상 50배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다. 지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서 입후보예정자로부터 양주, 맥주 등 139만 원 상당의 향응을 제공받은 조합원 2명은 총 1345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기도 했다.

기라성.jpg
조합장선거가 비록 '돈 선거'란 오명을 가지고 있지만, 조합원들은 더이상 돈을 바라면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알고 있다. 이번 선거를 통해 더는 우리 조합에서는 금품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히 한번 보여주자. 조합장을 위한 조합이 아닌 조합원들을 위한 조합을 한번 만들어 보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