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독립과 건국의 근간이 되는 3·1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이하여 국가적인 기념행사가 전국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정부는 국내외에서 민족의 자주독립과 세계평화를 외친 3·1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기 위하여 국민이 참여하는 각종 기념행사와 문화행사를 펼치기로 했다. 그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소홀히 다루었던 독립운동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역사적인 기억의 공간을 조성하는 등 다채로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남도도 지난해부터 100주년 기념사업자문단을 구성하여 3·1운동 100주년 기념 경남역사바로알리기 학술대회를 준비하고 있고, 시군에서도 45개의 기념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도교육청도 '3·1운동 100주년, 평화통일 원년으로'라는 기치 아래 독립운동과 민주주의운동의 성지인 경남에서 학생들에게 애국선열들의 정신을 새기고 역사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사업을 마련하고 있다.

세계사에서 3·1운동은 제국주의 식민지배에 맞선 비폭력 평화운동의 시원으로 각국의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무려 2개월에 걸쳐 전국적으로 확산한 3·1운동에 참가한 시위 인원은 200만이 넘었으며, 7500여 명이 사망하고 4만 5000여 명이 체포되었으니 민족민중운동의 성격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3·1운동의 여파는 중국의 5·4운동을 비롯, 대만과 인도는 물론 남미의 자주독립과 반제국주의 운동에까지 미쳤다. 또한, 민족의 대동단결과 평화, 독립을 주창한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과정에서 민족지도자들은 정의와 자유에 기반한 공화국을 천명하였으니 이후 대한민국의 국가적 기틀을 닦았음이 분명하다.

안타깝게도 3·1운동의 역사적 의의는 충분히 조명되지 못했다. 33인이 선언서를 낭독한 태화관 자리에는 표지석만 남아있고 기념관 하나 없는 실정이다. 독립유공자의 족적과 유적지의 흔적도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있고 예우도 충분하지 못하니 100주년을 전환점으로 민족정기를 세우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3·1운동의 정신을 살려 민족의 자주와 화합, 남북평화의 새 시대가 열리기를 기원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