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서점이 다시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한국서점조합연합회의 자체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 동안 전국의 서점은 3247개에서 2050개로 줄어들었다. 도서정가제 도입과 동네서점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등 정부의 각종 지원에도 불구하고 동네서점을 살리는 데는 백약이 무효인 듯한 상황이다.

그러나 동네서점이 쇠퇴하는 와중에도 주인의 취향이 반영되는 소규모 책방인 독립서점은 호황을 맞이하는 현상이 보인다. '동네서점 웹사이트'의 현황조사에 따르면 2018년 7월 현재 등록된 401개의 독립서점 중 357개가 운영을 유지하고 있다. 그중 23.2%인 83개는 최근 1년 이내 개점했다. 운영 중인 서점의 58.8%는 서울과 경기도에 몰려있고 경남의 독립서점은 10개로서 전체의 2.8%에 불과하지만, 지난 1년 사이 경남에서 4개나 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동네서점은 2013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형서점과의 경쟁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올해 2월 말 적합업종 지정 기간이 만료될 예정이므로, 공룡과도 같은 인터넷서점이나 대기업의 오프라인 서점과의 경쟁을 피할 길이 없어졌다. 최근 서점연합회는 중소벤처기업부에 서적 판매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신청했다고 밝혔다. 생계형 적합업종의 도입은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점연합회는 지정될 경우 5년 동안 대기업의 서점 진출을 막을 수 있다고 기대한다.

책만 사고 팔리는 대형서점이나 인터넷서점과 달리 독립서점은 지역과 취향에 뿌리를 두기 때문에 책 판매뿐만 아니라 독서모임, 북토크, 워크숍, 공간 대여, 전시, 공연, 낭독회, 마켓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정기간행물이나 책을 발간할 정도로 역량을 갖춘 곳도 있다.

정부는 동네서점의 생존을 지원해야 하며 동네서점의 모범격인 독립서점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도 모색하기 바란다. 최근 동네서점의 생존을 위협하는 존재로 지목되는 기업형 중고서점에 대한 제재도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