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8개 부처와 민간이 참여한 사업단에서 창원국가산단을 스마트 산단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연간 2000억 규모, 올해부터 4년간 같은 액수가 지원된다면 8000억 규모의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산업과 고용 복지에 대한 세부계획은 3월 말까지 수립될 예정이므로 섣부르게 성과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성과를 내기 위해 정부 지원단은 8개 부처와 민간으로 구성되고 경남도도 관련 기관과 민간전문가를 모아 스마트 산단 TF를 꾸린다고 하니, 이들의 활동에 따라 성과가 좌우될 것이다.

창원국가산단은 그동안 축소의 길을 걸었다. 이는 산업경쟁력이 약화한 데 기인한다. 노동자의 숙련 축적이 기업의 지속적 생산성 향상으로 이전되지 못하고 개인 체화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숙련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공정과정에 통합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공장스마트화, 공장을 연결하는 공정별 스마트화에 노동자 숙련의 축적과 연결, 공유를 통한 스마트화에 관심을 기울이기 바란다.

또 다른 경쟁력 약화 요인은 지역특화 인력들이 역내에 정착하지 않고 외부로 나감으로써 도내에 필요한 인력을 외부에서 유입해야 하는 인력 수급의 고비용화에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물론 고급인력이 지역에 머무를 수 있는 쾌적한 일터와 정주 여건 개선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선도사업 프로젝트에 국토부·환경부·산림청 등이 포함되어 다행이기는 하지만 사업 내용에서 적극적으로 이 점을 고려하여 시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창원산단의 문제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원청과 하청의 수직적 협력업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소기업의 혁신역량 개발에 커다란 제약 요소다. 단번에 해결할 수는 없지만 성장기업형 이노비즈 200여 개사, 지능형 수송기계 미니클러스터, 산업소재 부품 미니클러스터 등 창원산단의 잠재력을 활용하여 돌파구를 마련하기를 촉구한다. 결국 선도사업 프로젝트의 선정은 체계를 잡았다는 의미이고 그 성과의 관건은 노동자, 기업, 행정, 관련 기관들의 행위에 달려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