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인〉 (감독 이한)
속물 변호사·'증인'자폐 소녀
살인사건 진상추적 법정드라마
진정한 '정의'무엇인지 되물어

※영화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착한 영화다.

"당신은 좋은 사람입니까?"를 내내 묻는다.

<증인>은 휴머니즘을 강조한 법정 드라마다. 범인을 추리하는 미스터리보다 이미 해답을 내놓고 이를 풀어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이하 민변) 출신 양순호(배우 정우성)는 대형 로펌에서 일한다. 아직 굵직한 사건을 맡지 않아 존재감이 없다. 파킨슨병에 걸린 아버지(배우 박근형)를 보살피고 빚을 갚느라 허덕인다. 세상과 타협한 지 오래다.

그러던 중 함께 살던 할아버지를 살해한 혐의로 법정에 선 가정부(배우 염혜란)의 변호를 맡는다.

순호는 그녀의 무죄를 입증한다면 대형 로펌의 파트너 변호사로 승진할 수 있다. 또 이 살인사건의 유일한 목격자가 자폐 소녀 지우(배우 김향기)라는 점도 호재인 것 같다.

용의자 가정부의 알리바이는 흠잡을 데가 없다. 눈물을 흘리며 거짓말 탐지기까지 할 수 있다는 그녀다.

변호를 준비하는 순호는 지우를 찾아간다. 지우를 법정에 증인으로 세운다면 가볍게 승소할 수 있다고 생각해, 지우와 친해지려고 한다. 매일 자폐증을 공부하고 자신만의 세상에서 사는 지우 속으로 들어가려고 애쓴다.

지우는 순호를 경계하다 서서히 마음의 문을 연다. 순호와 퍼즐게임을 하고 컵라면 먹는 게 즐겁다.

그리고 1심 선고 날, 법정에 선 지우의 증언은 효력을 얻지 못한다. 지우는 가정부가 웃고 있었다고 증언했지만, 타인의 표정을 잘못 이해할 수 있으며 판단력이 흐릴 수 있다는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은 견고했다.

이후 영화는 새롭게 전개된다. 가정부와 숨진 할아버지 아들의 관계, 그 아들이 가해자 변호를 맡았던 대형 로펌에 고문 변호사를 요청한 일, 숨진 할아버지가 전 재산을 기부하려고 했던 계획 등이 퍼즐처럼 맞춰지기 시작하며 순호는 혼란스럽다.

▲ 빚에 허덕이는 변호사 양순호는 살인사건 용의자 변호를 맡아 명성을 얻고자 한다. 양순호는 사건 현장의 유일한 목격자인 지우를 찾아간다. /스틸컷

한편 지우는 자신만의 세상에 살며 아픔과 슬픔을 혼자 감당해낸다. 웃으며 자신을 이용하려는 단짝의 속내를 잘 알지만 엄마에게 말할 수 없다.

그러면서 지우는 순호에게 물었다.

"당신은 좋은 사람입니까?", "아저씨도 나를 이용할 겁니까?"

순호는 2심 선고 날 변호사의 의무를 저버린다. 증인으로 다시 선 지우와 소통하며 그녀가 봤던 사건 당일을 생생하게 그리게 한다.

법정 신은 영화에서 중요하다. 순호와 지우가 소통하는 장면은 영화가 강조하는 타인을 이해하는 방식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증인>은 군데군데 작위적인 장면이 있다. 세상과 타협한 아들에게 보내는 아버지의 편지 등이 그러한데, 이는 감독이 중요하게 선택한 포인트란다. 이한 감독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영화에서 아버지가 순호에게 편지를 쓰는 장면에 대한 반대가 많았다. 너무 간지럽다 하는 얘기를 들었다. 그만큼 한국영화에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가 다양하게 표현되지 못했구나 싶었다"고 밝혔다.

<증인>은 현실, 순진, 실리, 원칙, 포기, 정의 등의 단어가 영화를 감싼다. 어찌 보면 상투적인 메시지이지만 정우성, 김향기라는 두 배우는 탁월한 연기력으로 소박하지만 아주 진정성 있게 전한다.

"엄마, 증인이 되어 사람들에게 진실이 뭔지 알려주고 싶어"라고 말하는 지우의 말이 어색하지 않다.

<증인>을 본 관객이라면 사회 이슈를 담아낸 사회적 약자를 향한 영화라고 말할 수 있겠다. 자폐증 소녀를 사건 주요 인물로 배치하며 그녀가 겪는 학교 안팎의 현실을 보여주고, 영화 주변부 사건으로 나오는 생리대 발암물질 검출 관련 소송도 허투루 볼 수 없게 한다.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아주 평범한 사람은 아주 선하지도 아주 악하지도 않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처신하며 자위한다. 하지만 타인과 소통하며 함께 살아가야 함은 분명하다.

영화는 도내 멀티플렉스 상영관에서 볼 수 있다. 12세 이상 관람.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