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 '도랑 살리기' 사업은 낙동강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창원시가 2011년 의창구 북면 신음마을 도랑에서 처음 시작했으며, 전국 도랑 살리기 운동의 발원지가 되었다고 자부하는 일이다. 도랑 살리기 사업에서 전국 최초로 민관협약이 체결되기도 했다. 창원시는 2017년에는 마산만을 살리기 위해 '마을 샛강 살리기' 활동을 펼치는 것으로 사업의 영역을 넓혔다.

창원시 환경 담당 공무원들이 고장과 지구환경 보존을 약속한 환경행정서비스헌장에는 마을 도랑 수질개선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주남저수지 보존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창원시의 마을 도랑이나 샛강 살리기는 주민의 자발성에 크게 기대하는 관민 단체 협력이나 주민 주도형 사업 성격이 짙다. 창원시는 낙동강과 마산만 수질 개선이 마을 도랑이나 샛강 살리기의 작은 실천에서 발원함을 강조하여 마을 주민들과 협약식을 추진하고 관민이 함께 도랑이나 샛강을 정화하는 활동을 추진해왔다. 초기에는 모범마을을 발굴하여 홍보하는 등 눈에 보이는 성과도 얻었다. 그러나 최근 이 사업의 현황을 보면 문제가 적잖게 발견되고 있다. 주남저수지에서 가까운 동읍 자여마을은 사업이 종료된 지 5년이 지난 현재 도랑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쓰레기가 여기저기 방치되어 있다.

도랑·샛강 살리기 사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하천이나 강이 주거 지역과 가까워도 오염 물질이나 생활 쓰레기가 유입되기 쉽다. 주민의 접근을 차단하는 시설을 설치하고 상시적인 감시를 담당하는 인력을 운용해야 한다. 주민이 자발적으로 하천·샛강을 관리하겠다고 하는 마을이라면 인센티브를 줘도 좋을 것이다. 사업을 몇 년만 추진하고 이후는 주민의 양심에 맡기겠다는 건 하나마나한 일이 되기 쉽다. 생태 환경을 살리는 일에서 시효를 두는 것은 피해야 한다. 창원시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에 크게 의존함으로써 사후관리를 소홀히 하지 않았는지도 살피기 바란다. 사업이 끝난 마을에 대해 창원시의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