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2015년부터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5360명 묘소를 조사해 3399개 소재지를 확인했다.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청년독립회 단원의 묘소 위치를 확인하면서 알게 됐다. 이 단체는 일제강점기 말 창원지역에서 신사참배 거부운동과 '조선독립만세' 벽보사건 등을 벌였다.

1995년 대통령표창을 받은 박상규 선생의 경우 정부가 파악한 묘소 위치는 '경남 합천 봉산'. 하지만 이 주소로는 박 선생 안장지를 찾기 어려웠다. 봉산면사무소에서도 박 선생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박 선생 부인이 생존해 있다며 연락처를 알려줬다. 몇 번의 시도 끝에 연락이 닿았다. 부인은 남편이 '합천군 봉산면 송림리'에 묻혀 있다고 말했다. 정부 지원을 받아 비석을 세워 공적을 알리고 있다는 이야기도 했다.

정부는 포상을 받은 독립유공자 1만 5180명 중 7307명 묘소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박 선생 사례를 보며 생각했다. 안장지가 파악된 독립유공자 묘소 위치는 정확할까. 부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지는 않을까. 국가보훈처는 부득이한 경우 서면조사로 실태조사를 할 수 있다고 했다. 묘소 실체를 확인하지 않고 가족 혹은 유족이 말하는 그대로 옮겨 적었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류민기.jpg

국가가 독립유공자 묘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고 밝힌 만큼 실태조사도 더 정확하게 진행해야 한다. 박 선생 사례처럼 안장지 위치가 불명확하게 나와서는 안 된다. 지역사 연구가 박영주 씨 지적처럼 국가가 묘소까지 철저히 파악하고 관리해 널리 알려야 사람들이 독립운동가 누구의 묘소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이 존재하도록 힘을 쏟은 선열을 지나치지 않고 기릴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