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신항만의 '제2신항' 입지로 진해 제덕만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중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향후 제2신항의 운영 주도권을 행사하기 위해 진해지역에서 가장 먼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부산 신항만이 건설될 당시 땅의 60%는 경남임에도 불구하고 부산시가 전략적인 도시계획에 따라 사업을 주도하면서 고용 및 경제적 파급효과는 부산시가 거의 가져갔다는 볼멘소리도 무성하였다. 그동안 진해 어민들이 직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지만, 신항이 도대체 어떤 실익을 주었느냐는 비난도 많았다. 부산 신항 개발로 신항 인근 양식업은 경제적 타격을 받았지만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호소가 끊이지 않았다. 또한, 이런 직접적인 피해에도 불구하고 신항 명칭에 진해의 이름조차 표기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실제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런 하소연들에 앞서서 항만 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개입하려면 완전히 다른 문제의식을 느껴야 한다. 자기 지역 중심적인 발언이나 사고방식이 중요한 게 아니라 항만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을 기획하고 운용할 수 있는 물적 인프라의 활용과 인적 네트워크의 존재 여부가 핵심이다. 자신들의 지역이 배제되고 홀대받는다는 지청구가 아니라 이전에 제대로 경험하지 못하였던 새로운 영역의 산업을 조정하고 운영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부산 신항에 경남이나 진해의 명칭을 포함하지 못한 게 문제의 전부는 결코 아니다. 경남은 신항이 개발되면서 배후단지에 기업 유치를 추진하는 정도의 정책적 대응에 머물렀던 반면, 부산시는 항만을 기반으로 하여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항만과 관련된 고부가가치 산업을 집적화하려고 노력했다. 즉, 대접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게 문제의 핵심이 아니라 항만이라는 시설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조차 하지 못한 무능력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경남도가 스스로 '동북아 물류 플랫폼의 중심'이라고 외치기보다 항만 산업을 주도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의 배양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런 준비가 있어야 '제2신항'의 운용을 두고 벌어질 수밖에 없는 부산항만공사와의 갈등에도 제대로 대처할 수가 있다. 항만 이름에 지명이 들어가거나 빠지는 형식적 문제보다 오히려 항만의 운영을 주도하면서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내용적 접근이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