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성원 모인 워크숍서 체계적 관리 방안 모색

창원 주남저수지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할 방안을 마련하고자 환경시민단체와 주민·공무원이 머리를 맞댔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와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은 29일 창원시청 대회의실에서 '주남저수지 마스터플래너 2차 워크숍'을 열었다.

이날 환경단체 회원과 주남저수지 인근 주민, 창원시 주남저수지사업소·농업기술센터 직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홍석환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주남저수지 종합관리계획 방향' 발제에서 '멸종위기 재두루미와 상생하는 생태마을'을 제안했다. 홍 교수는 "야생 조류가 마지막 피난처로 찾는 주남저수지와 그 일대를 놓고 30년간 개발과 보전 논리가 대립하고 있다. 자연 순환농에 기반한 농업 소득이 안정된 순환마을, 생활과 여가·관광이 어우러지는 공생마을 등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29일 창원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주남저수지 마스터플래너 2차 워크숍' 참가자들이 관리 방안 등을 놓고 토론하고 있다. /이혜영 기자

김순재 동읍농협 전 조합장은 그동안 시 행정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김 전 조합장은 "주남저수지가 재조명 받기 시작한 1995년께 행정은 공감대 없이 보존에 대한 충고를 받아서 움직였다. 주남저수지 관련 일들은 번번이 주민들과 마찰을 불러왔고 철새보다 못한 농민이란 인식이 확산됐다"고 했다. 이어 "주남저수지는 예산을 추가 투입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전문 인력을 배치해 주남저수지에 대한 이해와 주민 공감을 연속해서 이끌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 교수도 주남저수지 생물다양성 확보를 강조하며, 창원시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주민과 생물을 연결할 수 있는 전문가가 없었고 원칙이 없었다"며 "개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농어민 생계 지원 대책을 세워 불법에 대한 법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지역 주민 생활 편의와 소득 보장을 고려해 필수지역(철새 잠자리·먹이 터)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합리적인 도시관리계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창원시는 2020년 조성 100주년을 맞는 주남저수지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자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 산하 담당계로 운영하던 부서를 '주남저수지사업소'로 승격해 확대 개편했다. 사업소는 주남관리팀 4명, 생태시설팀 4명으로 꾸려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