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서 기업인·교수 지적
"부산 대비 인력·조직 부족"

부산항 제2신항 진해 입지를 기점으로 창원시가 전문 항만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항만 건설 지역 약 60%가 진해지역에 속하나 명칭도 개발도 부산 중심으로 이뤄지고, 정작 주민은 실익을 얻지 못한 채 피해와 불편 속에 살게 된 근본 원인이 창원시 자체 항만 정책 수행 역량 부족에 있다는 견해다. 이에 지역 내 항만 관련 전문 인력 양성과 수급으로 부산시, 해양수산부 등 전통적인 '해양 항만 분야 카르텔'을 깨는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묵 카텍 이사는 지난 28일 열린 진해해양항만발전협의회 토론회 발제에서 "문재인 정부 중앙 권한 지방 이양, 자치 분권 추진에 따른 항만 사무도 해당 지역이 도맡아 하게 될 날이 올 수도 있다"며 "하지만 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이 창원 더 나아가 경남에 거의 없다는 점은 뼈아픈 대목"이라고 짚었다.

김 이사 발제문을 보면 부산시는 해양농수산국 산하에 해양수도정책과 등 5개 과를 두고 있다. 이도 모자라 경제부시장 직속으로 항만물류담당관이 편제돼 있다. 이곳에는 해운항만과장을 필두로 항만항공물류팀장, 해운산업팀장, 항만재창조팀장 등이 포진해 있다. 또한 해운항만산업 육성 정책 수립은 5급 공무원이 맡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파견 나간 직원도 있다.

김 이사는 "부산시는 해양항만과와 해양산업과에 박사급 항만 전문가를 두고 부산항만공사(BPA) 관리는 물론 해양수산부 파견까지 하는 등 활발한 교류로 경남도와 경쟁에서 앞서 갈 수 있는 정보와 항만 개발 유치 선점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반면 창원시와 경남도는 인력 규모나 전문가 수가 부산시와 대비해 극히 적어 제대로 된 대처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홍자 창원대학교 겸임교수도 "신항 개발 당시 명칭을 놓고 경남과 부산이 첨예한 갈등을 겪자 정부는 '신항'이란 명칭을 사용하는 대신 경남지역 민심수습 대책으로 '2007년 1월 이후 BPA 항만위원회에 경남도지사가 추천하는 인사 2인을 포함, 부산항 항만운영에 동참'이라고 명시했지만 11년이 지난 지금까지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이는 결국 항만 전문 인력 부재와 정책적 대응 미비가 주요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창원 정치권에서도 지역 인사가 국가 항만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시스템 필요성을 강조했다.

창원시의회 진해지역 의원들은 29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해양수산부는 창원지역 항만정책 참여 권한 확대를 위해 창원시에도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위원과 항만위원회 위원 추천권을 즉각 부여하라"고 촉구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