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제2신항 컨부두 부산 압도
도, 항만산업 주도권 재편 기대
항만 중심 도시계획 연구 시동

'제2신항 진해 제덕만 유치'가 확실시되는 시점에 '동북아 물류 플랫폼의 중심, 경남'이라는 큰 그림이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부산항신항 터 60% 이상이 경남(창원 진해구)에 속해 있었지만 대부분 컨테이너 부두는 부산 땅에 있었고, 항만 운용 역시 부산 위주라는 진단이 많았다. 특히 진해 주민들은 어업권 침해와 환경오염 등 생존권 위험을 감내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해왔다.

'부산항신항'을 기반으로 도시발전 계획을 추진해온 부산시의 선제적이고 전략적인 행보에 비춰볼 때 경남에 부산항신항은 '가깝지만 손에 잡히지 않는 그 무엇'이었다. 이러던 차에 '제2신항'이 진해에 건설되는 것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경남은 일약 동북아 최대 항만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할 기회를 얻었다.

◇제2신항 건설되면? = 진해 제덕 일원에 건설될 예정인 제2신항은 컨테이너 부두 17선석과 피더 4선석으로, 21선석 규모다. 이렇게 되면 제2신항을 포함한 부산항신항 전체 규모는 57선석으로 늘어난다. 이중 경남에는 37선석, 부산에는 20선석이 자리 잡는다. 경남의 컨테이너 부두 수가 부산을 압도하게 되는 것이다. 경남도는 제2신항 건설이 완료되면 부산항신항의 항만 기능이 경남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제2신항 진해 제덕만 건설에 따른 직·간접 경제적 효과를 29조 원으로 잡고 있으며, 고용가치 역시 19만 6000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본다. 2030년까지 추진될 제2신항 건설 사업에는 12조 70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경남 지역업체 참여에 따른 건설업 직접 효과는 최대 5조 원으로 추산된다. 특히 현재 1795만 TEU 규모인 부산항신항 물동량은 제2신항 건설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3407만 TEU에 이르는 동북아 최대 항만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그동안 경남은 부산항 신항을 활용한 경제·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고는 했지만, 배후단지 기업 유치를 추진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부산처럼 항만을 기반으로 한 도시계획을 수립하거나 고부가가치 항만 관련 산업을 집적화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 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일고 있다.

◇경남도 잰걸음 = 김경수 지사가 연두 기자회견에서 밝힌 '제2신항 유치'와 '동북아 물류 플랫폼 구축'은 그의 공약 중 하나였다. 도 관계자는 "물류가공산업을 집중적으로 유치하고 관련 R&D 기관을 집적화함은 물론, 스마트 항만 기능을 정착시키겠다는 김 지사의 구상이 이제 본격적으로 추진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28일 간부회의에서도 제2신항이 남부내륙철도만큼이나 경남의 핵심 사업이라고 강조하면서 진해 지역 전체적인 발전 계획과도 연동하도록 정책을 수립하라고 당부했다.

무엇보다 '동북아 물류 플랫폼'이라는 구상에 부합할 수 있게 인근 진해와 김해의 도시 지구단위계획을 어떤 방향으로 수립해나갈지가 도 차원의 연구 과제로 선정되는 분위기다. 그동안 볼 수 없었던 항만 물류 정책의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경남발전연구원 박병주 팀장은 "항만을 염두에 둔 도시계획은 경남에는 없었다. 동북아 물류 플랫폼 구축이라는 지사의 방침에 따라 지구단위계획 수립 방향, 산업 집적화 모델 창출 방안 연구작업이 본격화된다"고 밝혔다. 기존 부산항신항 사업이 부산항(북항) 포화 상태를 해소하고자 추진된 것이라면, 제2신항은 4차 산업혁명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어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겠다는 것이다.

지역 일각에서는 부산항 신항 관리 주체에 대한 논의도 일고 있다. 부산항신항을 관리하는 부산항만공사가 정부 공기업이면서도 사실상 부산의 도시개발과 밀접하게 연계된 만큼, 부산항신항 관리 주체 역시 재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