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삼성교통 노조가 전면 파업을 시작한 지 사흘째 접어들면서 시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파업까지 결행한 노조의 입장도 이해되는 측면이 있으며 노조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는 진주시 대응도 수긍은 간다. 하지만 시내버스는 시민의 발과 같다. 발목을 오래 묶어 두면 둘 다 명분을 잃고 만다. 시민사회단체가 사회적 합의로 해결하라 나선 배경이기도 하다.

시내버스 운영을 둘러싼 갈등은 진주시뿐만 아니라 전국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개 파업에까지 이르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만큼 시민 불편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삼성교통의 파업이 부당하다는 뜻이 아니다. 도농통합형 도시인 진주시 경우 적자 노선이 많을 수밖에 없고 전임 시장에 의해 구축된 시내버스 노선 조정으로 인한 버스회사 부담 가중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시민의 발로서 역할을 버려서는 명분을 얻기 어렵다. 원칙을 고수하려는 진주시도 보기 좋은 모습은 아니다. 경영적자가 누적되는 상황을 알고 있었다면 적극적인 해소책 제시와 같이 타개하려는 모습을 먼저 보여야 한다. 시민단체인 진주참여연대가 삼성교통과 진주시 양측에 쓴소리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진주참여연대는 노동자 자주관리기업인 삼성교통이 시민의 이해를 구하려 노력했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책임의식이 있어야 마땅하다. 진주시에 대해서도 비록 버스회사가 동의했다고는 하나 시의 일방적인 노선개편과 교통취약지인 농촌지역 적자노선 운행의 문제가 있음에도 버스회사 노동자의 최저임금 문제를 버스회사 경영문제로만 보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

진주시와 삼성교통은 현재 구성된 시민소통위원회나 진주참여연대가 제시한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 등 사태 해결을 위한 방법을 빨리 찾아야 한다. 사회적 합의 대상으로 적절치 않다는 진주시의 판단은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최저임금 보전도 안 되는 이유를 잘 들여다보고 누구나 긍정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을 일차적 책임은 진주시에 있다. 삼성교통도 이용하는 시민이 없다면 버스회사가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기본에서부터 문제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선은 파업을 풀고 왜 경영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시민사회와 진주시를 설득하는 것이 먼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