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 기업투자의 요건과 내용을 최근 전폭적으로 하향조정하고 있다. 제조업으로 대표되던 경남의 경제지도에 기술개발 및 연구를 하는 지식서비스산업을 비롯하여 정보통신업과 물류업과 같은 관련 업종들의 투자 진작을 위한 지원책을 발표했다. 경남도의 이런 행보는 일자리 창출이라는 지상과제를 실현하려면 기업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기업투자의 인센티브 요건을 확대하면서 기업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려는 경남도의 모습은 분명 매우 긍정적이다. 특히 경남도 기업 유치정책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고급노동력 일자리를 확대하려는 의지다. 경남도는 지역에서 5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100명 이상 고용하는 기업연구소를 설립하는 기업엔 직원 1인당 월 100만 원씩, 3년간 최대 100억 원까지 지원하겠다는 기업유치 인센티브 정책을 발표했다. 이것은 상대적 저임금이더라도 일자리만 마련되면 그만이냐는 비판마저 나오는 '광주형 일자리' 정책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지식서비스업종은 제조업이라는 기반경제를 공고히 하면서 성장 동력을 더욱 확장하고 확대할 수 있는 통로이자 매개고리다. 단순반복에 가까운 저부가 노동에 기초한 산업은 임금경쟁력 하나만이라도 약화되면 사양 산업으로 전락하였을 뿐이다. 이런 과거 경험을 떠올려보면 경남도가 제시한 기업유치 및 투자촉진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은 쉽게 이해가 된다.

위기에 빠진 경남경제가 제자리를 찾을 방안은 매우 다양하고 폭이 넓을 수 있다. 산업위기지역으로 선포된 조선업 중심 지역들에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단기적 방안이다. 중장기적으론 경제의 체질을 개선하면서 혁신성장이 가능하도록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의 육성책도 필요하다. 다양한 정책이 폭넓게 시행되면서 경제의 기초 체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은 터무니없는 노력이 아니라 미래를 내다보고 준비할 수 있는 경제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청사진 제시는 정책담당자들의 적극적인 실천이 담보될 때 더욱 분명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