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는 스마트 경남과 더불어 창업생태계 조성을 금년도 경제도약의 주요 축으로 선언했다. 기존의 노동시장의 상황만으로는 일자리 창출은 물론 유지도 어렵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적어도 3% 이상 지역 내 경제성장을 이루어야 고용이 유지되는 정도인데, 현재는 고용이 특히 제조업 고용이 감소하는 추세를 막을 수 없다. 이에 대한 대응이다.

창업은 우선 두 가지 점을 전제해야 한다. 혁신적인 경제활동이 장려되는 사회적 여건, 그리고 이에 호응하는 경제활동 주체들의 모험과 도전정신이 있어야 가능하다. 개인의 도전과 위험 감수를 도와줄 수 있는 경남의 인적 조직적 자원을 동원하여야 한다. 기업 현장에의 접근성, 기업의 숙련된 인력의 활용, 기업과 대학이나 연구소와의 기술협업을 장려하는 것이 그것이다. 개인의 창업과정에서는 자금과 시장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자금에 대한 경상남도의 계획은 야심적이다. 낮은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야심적이라고 평가한 이유는 이 작은 목표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의식한 것이다. 투자는 냉혹한 시장경쟁력, 기술력 평가, 그리고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에 근거하여 평가되기에 그렇다.

창업 이후에는 시장개척이 어렵다. 이를 위해서는 처음부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통한 창업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기업은 기술력이 앞서 있으면서도, 이를 창업하여 이전하면 좋은 기술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경영상, 조직운영 상 문제로 이를 미루어 둔 것이 많다.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창업의 지혜가 필요하다. 이런 면에서 세대 융합 스타트업 캠퍼스에 주목한다. 도가 추진하는 사업 대부분이 알고 있으나 시도하지 않은 도전이다. 숙성기간이 적어도 수년이 소요되고, 통합적 정책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므로 도지사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한다.

경남도의 창업생태계 조성에 찬사를 보낸다. 아울러 개인에게 귀속되는 위험을 사회화하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숙련된 노동자, 대학, 연구소의 협업이 전제되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점만 다시 한 번 지적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