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1차 기본계획 수립
바이오 산업 육성 뒷받침

우리 바다의 수산생명자원을 더욱 전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연근해뿐 아니라 배타적경제수역(EEZ)까지 조사가 이뤄지고, 해양수산생명자원 등급제가 도입된다.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리기본계획'을 14일 발표했다.

해수부는 "바이오산업은 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과 함께 주요 미래성장동력으로 꼽힌다"며 "이를 발전시키려면 유용한 생명자원을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대량배양·활용기술 개발 등 체계적 관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우선 생명자원 주권을 강화하고자 연차별로 대상 지역을 정해 해양수산생명자원 조사 범위를 연근해는 물론 EEZ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 환경유전자 분석 같은 효율적인 조사 방식을 도입해 우리 주변의 해양수산생명자원을 확보해 나간다.

'나고야 의정서' 국내 발효 후 어려워진 해외자원 확보에 대응하고자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유용한 자원을 가진 나라를 '해외자원 확보 전략지역'으로 정하고 현지연구소와 공동 연구도 추진할 방침이다.

'나고야 의정서'는 다른 나라의 유전자원에 접근할 때 거쳐야 할 절차와 다른 나라의 유전자원을 활용해 이익을 냈을 때 자원 보유국과 이익 공유 방법 등을 정한 것으로, 2017년 국내에 발효됐다.

해수부는 또 경제적·생태적·연구개발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해양수산생명자원 등급제'를 마련하기로 했다. 등급이 높은 자원을 우선해 확보하는 한편 국외 반출 승인대상으로도 지정해 국내 생명자원의 해외 무단유출을 막는다.

국내 생명자원 관련 정보는 기업·연구기관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양수산생명자원 통합정보시스템'으로 일원화된다.

해수부는 나아가 국내외 연구논문과 보고서를 포함해 자원 활용성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해양바이오뱅크'를 구축하고,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초·중·고 교육과정과 연계한 진로체험 같은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이번 제1차 기본계획은 △전략적 자원 확보 체계 마련 △활용과 연계한 자원 관리역량 강화 △자원 이용가치 제고 및 업계 지원기반 마련 △자원 가치 및 보전필요성에 관한 대국민 인식 제고 등을 골자로 마련됐다. 해수부는 "제1차 계획 기간 유전자원정보를 4200건에서 7500건으로 확대 구축하고, 국내 기록 종의 서식지 확인율을 57%에서 60%까지 높이겠다"며 "해양바이오 세계시장 점유율을 10.7%에서 12.4%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