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이익 중 이자이익 87% 차지
경기침체에도 CEO 고액 연봉

하나은행을 주력 계열사로 둔 하나금융지주의 김정태 회장은 지난해 상반기에만 13억5000만 원을 받았다. 김 회장은 지난해 3연임에 성공했다. 누적 급여는 수백억 원이다. 위성호 신한은행장은 2017년 연봉으로 21억2000만 원을 신고했다. 국민은행을 거느린 KB금융지주 윤종규 회장도 같은 해 17억8000만 원을 받았다.

은행의 수익구조에서 이자이익 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은행 총이익에서 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금융위기 전인 2007년 72%였지만, 지난해 87%(3분기 누적)로 상승했다. 연간 기준으로 비이자이익은 2007년 12조1000억 원에서 2017년 7조3000억 원으로 감소한 반면, 이자이익은 31조2000억 원에서 37조3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이자수익에서 이자비용을 뺀 금액이다.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높게 받는 데서 발생하는 순이자마진(NIM)이 이자이익의 결정적 요인이다.

1997년 외환위기 직전 30개이던 국내은행은 부실은행 구조조정을 거쳐 2000년 20개로 줄었다. 이후 조흥은행·외환은행 매각 등의 일시적 요인이 있었지만, '망한' 은행 없이 인터넷전문은행까지 합쳐 17개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90조 원의 공적자금이 부실 해결에 투입됐다.

은행업 인가(인터넷은행 제외)는 1998년 평화은행이 마지막이었다.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서지만, 4대 시중은행과 각 지방은행이 비슷한 상품과 영업으로 기득권을 누려온 셈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당국은 규제로 억누르고, CEO는 그 칼날 아래서 몸을 낮춘 채 임기 내 고액 연봉을 챙기고 떠나는 구조가 고착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