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 네트워크 정리부터 절실"
독립운동가들 '가계조사'중요
관계망 복원 → 운동계보 조명

여성독립운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를 지금까지 경남 안에서 만나지 못했습니다. 그만큼 경남지역 여성독립운동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지 못했고, 묻혀 있는 사실도 많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취재진은 몇 해 전 경남지역 여성독립운동과 관련한 연구를 했던 이를 부산에서 만났고, 전국적으로 여성독립운동의 의미를 알리며 활동하는 이도 인터뷰했습니다.

"지금도 여성운동이 힘든데, 당시에는 대항하는 것 자체가 더욱 어려운 상황이었을 것이다. 여성독립운동도 남성 중심 시스템에 가려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이 밝힌 여성독립운동의 의미다.

양 사무처장은 2015년 '경남의 독립운동가, 여성운동가들'이라는 연구 논문을 썼고, 이 글은 <경남의 독립운동, 그 현장과 운동가들>(2016)에 실렸다. 그는 부산이 근거지인 데다 시민단체 활동을 하느라 꾸준히 연구에 매달리진 못했다.

하지만 여성독립운동 재조명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고민했고, 지자체와 정부가 해야 할 역할 등을 제시했다.

▲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 /박일호 기자 iris15@idomin.com

"국가보훈처와 독립기념관 등 다양한 관계기관과 대통령의 실천 결의도 있어야 할 것 같다. 일제의 착취와 억압, 이에 대한 저항의 역사를 남기는 일이 끊긴 것이 아닌가. 여성독립운동 역사 복원에 관한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독립유공자와 후손, 연구자, 향토사학자, 정부가 모여 장기적으로 어떤 연구와 자료조사를 할지 다양한 방법을 검토했으면 한다."

양 사무처장은 먼저 여성 독립운동가의 인적 네트워크 정리 작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는 자연스레 여성 독립운동가 생애와 활동 서술로 이어질 수 있다.

"여성이든 남성이든 경남 인물 가계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당시 사람들은 관계망이 형성돼 있어 이를 분석하면, 여성운동·노동운동·빈민운동·청년운동 등과 같은 경남지역 독립운동 계보도 찾을 수 있다. 사회주의 활동이라는 이유로 서훈이 안 되는 부분도 안타까운데, 동시에 조명해야 한다."

그는 지역 인물을 기리는 일이 지역사회 자긍심을 낳는다고 강조했다. "구술을 찾고 자료를 발굴하는 게 시급하다. 지역 역사와 정체성은 다양한 사건·사고로도 찾을 수 있지만, 인물 역시 한 측면을 차지한다. 지역민에 관한 기록 없이 왕조나 사건 중심의 구성에서 벗어나려면, 여성 독립운동가처럼 국사 편찬에서 소외돼왔던 인물을 찾아내고 그 빈자리를 메워야 한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교과서에도 실어 교육 차원에서 다뤄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