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을 부분 확장해 동남권 신공항 기능을 부여하려는 국토부의 정책이 다시 해를 넘기게 됨으로써 새해에는 이 난제가 어떤 모습으로 되돌아와 매듭이 지어질지 관심을 끈다. 경남·부산·울산 등 관련 3개 광역단체장은 활주로 한 개를 신설하는 정도로는 동남권 관문 공항 역할에 한계가 있다는 기존 견해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총리실 산하에 검증위원회를 설치하여 사업의 타당성과 효과적 측면을 공증한 후 진행할 것을 촉구하는 등 국토부와는 여전히 견해를 달리하는 평행노선을 견지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부울경동남권관문공항검증단은 그동안 지속해서 반대 논리를 발굴해 단체장 공동명의의 불가 주장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어 사태는 걷잡을 수 없는 수렁 속으로 빠져드는 느낌이 짙다.

그런데도 국토부가 기본 입장을 굽히지 않고 과연 정면돌파를 감행하는 강수를 들고나올까 그것이 관건이다. 연초에 재개하겠다고 밝힌 주민설명회가 첫 통과절차가 될 것이 확실하다. 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데다 소음공해가 제거됐다는 어떤 확신도 갖지 못한 주민들이 설명회에 순순히 응할지는 의문이다. 그 때문에 설명회가 제대로 열리지 못한다든지 열려도 반쪽짜리 행사에 그친다면 그다음 추진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것은 불가피하다. 국토부가 모든 장애를 극복하고 시행단계인 설계작업에 들어갈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해질 것이라는 염려가 나오는 것이다. 3개 광역단체장은 모두 집권 여당 소속이다. 국책을 세우고 집행하는 과정에 정무적 고려는 해서는 안 되고 할 수도 없다. 그러나 선출직 여권 실세들을 전혀 도외시할 수만은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처럼 도사리고 있는 복병이 한둘이 아닌 점이 사태를 어렵게 만든다. 민과 관이 한결같이 계획 철회 내지 입지 변경을 주장하고 있는 만큼 현 정부에는 진퇴양난의 형국이 아닐 수 없다. 왜 지역이 한목소리로 김해신공항 계획의 부당성을 고발하고 있는 것인지 돌아봐야 한다. 전 정권의 결정사항이라며 책임을 회피하거나 한 발 빼는 자세는 옳지 않다. 어떻게 해야 장래 동남권 공항의 발전적 주춧돌을 놓을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이 먼저다. 그러자면 당국자 중심의 일방통행에서 벗어나 당사자 간 합의의 사고방식을 접목하는 것이 선결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