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서항으로 개발 중인 가포신항과 인근에 조성된 인공섬인 마산해양신도시의 인과관계는 난형난제로 표현되어 지나치지 않다. 신항 공사에서 나온 준설토로 메워 해양신도시가 탄생하게 됐고 병목현상으로 마산 앞바다 물흐름이 더욱 나빠져 어족 회유를 비롯한 수생 생태계의 환경이 급속도로 악화하고 만 것이다. 이에 반해 가포신항은 애초 미래 물동량 예상치를 잘못 잡아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물량이 기준치를 훨씬 밑도는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가포신항은 부두 기능이 한계에 봉착되는가 하면 해양신도시는 확실한 개발 방향을 잡지 못해 표류를 거듭하는 중이다. 지난 4개월간 활동하며 적정성 유무를 심사·분석한 마산 해양신도시 공사비 검증단이 자신 있게 내린 결론이다.

마산만과 관련한 이 두 개의 대형 프로젝트가 전국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추진됐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준설토 매립지로 현 해양신도시가 지정된 사정 또한 다르지 않다. 들고나는 물동량을 너무 높게 측정했을 뿐만 아니라 그 때문에 경제효과 오류가 생겼다는 비판을 불렀다. 벌써 20년 가깝게 시간이 흘러 원인행위자를 가려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정부의 책임까지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해당 지자체의 소관 업무로 전가되다시피 해온 해양신도시의 경우 민간자본에 의한 시멘트 블록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그 뒤에 발생하는 부작용은 애꿎은 시민들의 부담으로 돌려질 가능성이 커졌지만, 창원시는 뾰족한 대책이 없고 중앙정부는 묵묵부답으로 서로 떠밀기를 하는 형국이다.

이래서는 애물단지가 안 된다는 보장이 없다. 검증단은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최종 보고서를 내놓았을 뿐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가포신항은 마무리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해도 해양신도시 문제는 간단치 않다. 가뜩이나 좁은 항만의 가장 비좁은 자리에 있어 난개발이라도 된다면 백년대계에 심각한 타격을 끼칠 것은 자명하다. 지반침하가 계속된다는 지적도 무겁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지방의 역량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무거운 짐이 아닐 수 없다. 책임 영역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해양수산부가 해결책을 내놓을 차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