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소통으로 행정 투명화…의회 정치 다양성 확보
민선 첫 민주당 시장 당선…시의회 여야 의석수 균형…변화 바람 정책으로 이어져
공론화위 신설·특례시 성과…창원 방문의 해 관광도시 도약…방위·수소·항공산업 집중투자

2018년 창원시정 키워드는 '변화'였다. 6·13지방선거에서 창원시민은 1995년 민선이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민주당 인사를 시장으로 선출했다. 이전과 다른 '새로운 창원'을 향한 시민 열망이 그만큼 강하다는 방증이었다. 허성무 시장은 이 열망을 받들고자 토목·건설 등 개발 논리에서 벗어나 시민 참여와 소통, 체감형 복지에 기반을 둔 '사람 중심' 시정 구현을 목표로 구슬땀을 흘렸다.

▲ 민선 첫 민주당 시장인 허성무 창원시장. /경남도민일보 DB

◇소통으로 현안 해결 = 7월 1일 취임한 허 시장 앞에 놓인 창원의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무엇보다 전임 시장 시절, 더 나아가 통합 이전부터 드러난 해묵은 현안 해결이 시급했던 탓이다. 마산해양신도시, 신세계 스타필드 창원 입점, 공원 민간 개발 특례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취임 전 당선인 시절에는 대산면 레미콘 공장 허가 문제가 대두했다. 시의회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각종 의혹이 제기된 SM타운 사업 추진 과정도 살펴야 했다.

창원시는 이를 '공개와 소통'을 원칙으로 풀어나가고자 했다. 먼저 해양신도시·스타필드·공원 민간 개발은 '공론화위원회'로 시민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로 했다.

대산면 레미콘 공장 등 갈등 사안을 '시민갈등관리위원회'를 둬 접점을 모색했다. 마산해양신도시와 SM타운은 '검증단'을 꾸려 의혹 해소에 나섰다. 부적절한(?) 행정으로 새 야구장 명칭 선정 과정에 논란이 생기자 위원회를 구성해 '공론화'를 거치기도 했다. 시는 이렇듯 학계, 시민사회, 전문가를 중심으로 현안을 공유하고, 논의 과정을 시민에게 공개함은 물론 그 결정 권한까지 돌려주려 했다. 이 밖에도 주민참여 예산제 내실화, 정보공개 조례 제정으로 시민 시정 감시, 참여 폭도 넓혔다.

◇체감형 복지 확대 = 허 시장은 취임 일성으로 시민 한 사람, 한 사람 삶이 나아지는 시정을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시민 체감형 복지' 시책으로 구현됐는데 대표적인 게 시민안전보험, 교복 구입비 지원, 신혼부부 전세 대출 이자 지원 등이다. 전임 시장 시절 추진된 광암해수욕장 재개장도 허 시장 취임 직후 완수됐다.

◇미래 먹을거리 마련 = 창원시 경제를 떠받치던 기계·조선 산업 불황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몰락으로 이어지고, 일자리가 줄면서 인구 또한 통합시 출범 당시 110만에서 105만 선으로 내려앉았다.

산업 경기 악화와 강화하는 환경 규제 등으로 창원시가 더는 제조업만으로 지역 경제를 일으킬 수 없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시는 이에 방위·수소·항공부품 산업을 미래 30년 성장 동력으로 삼아 대대적인 투자에 나섰다. 이들 산업 관련 정부 국책 기관 창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아울러 기존 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꾀할 재료연구소 '원' 승격에도 힘 쏟았다.

▲ 지난 10월 열린 창원수소에너지전시회 수소전기하우스 개장식 장면. /경남도민일보 DB

또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창원형 스마트도시 조성 계획'을 세우고 현재 조성 중인 마산해양신도시 인공섬을 테스트 베드로 활용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들 구상은 지역 방위 산업체 내년 511명 신규 채용 약속, 정부 지정 '수소 버스 시범 도시' 선정, 성주동 제2 수소충전소 건립, 창원국가산업단지 확장 사업 승인 등 일부 성과로 나타나고 있지만, 방위산업진흥원 설립 관련 법 개정이 요원한 데다 유치에 나선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는 대전으로 가는 등 아쉬움도 있다.

◇창원시 위상 제고 = 창원시는 문재인 정부와 궤를 같이하는 민주당 지방정부로서 힘과 능력을 보였다. 정부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에 '인구 100만 대도시 특례시 명칭 부여와 추가 사무 특례 확대'가 포함됐고, 시 출범 이래 처음으로 국비 예산을 1조 원 넘게 확보했다.

특히 '특례시 지정'은 애초 시민 공감대 마련 등으로 동력을 확보한 후 내년 말께 법 개정 작업에 나서려 했으나 일정을 1년 이상 앞당겼다.

▲ 지난 9월 창원세계사격선수권대회 만찬 행사에서 허 시장이 북한 선수단과 악수하는 모습. /경남도민일보 DB

2018 창원세계사격선수권대회 성공 개최는 창원시가 '국제 스포츠 도시'로 한 발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 북한 선수단 참가, 이와 연계한 세계민주평화포럼 개최는 대회를 세계 평화를 앞당기는 축제의 장으로 만들었다.

◇관광 도시 이미지 구축 = 전임 시장 시절부터 추진한 '2018 창원 방문의 해'는 1년 누적 관광객 1500만 명 목표를 달성했다. 정확한 수치는 내년 초 나올 예정이지만, 추진단은 잠정 집계 결과 1500만 명 달성이 무난하리라 판단하고 있다. 세계적인 관광지인 제주도 2016년 방문객이 1500여만 명이었던 점에 비춰 '관광 도시'를 향한 창원시 노력이 많은 성과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 창원 방문의 해로 이룬 '관광 저변 확대'는 창원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 지난 10월 창원시의회 환경해양농림위원회가 마산 덕동물재생센터를 찾은 장면. /경남도민일보 DB

◇균형 이룬 시의회 = 창원시의회에도 '변화' 바람이 불었다. 6·13지방선거 결과 의석 비율이 이전 보수 정당 과점에서 더불어민주당 21석-자유한국당 21석-정의당 2석으로 균형을 이룬 것이다. 정쟁 심화 우려가 있었지만, 의원들은 당리당략을 떠나 시민 복리 증진이라는 대의(大義) 앞에 적절한 견제와 통 큰 결단으로 허 시장과 함께 시정을 견인했다. 시민 소통과 참여 시정 핵심인 공론화위, 시민갈등관리위 존립 근거 조례가 큰 반대 없이 통과됐다. 수년간 발의될 때마다 정쟁 속에 보류된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조례'도 잡음 없이 통과시켰다. 체감형 복지 시책 확대에 필요한 조례 제정에도 힘을 보탰다. 또한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특례시 지정, 고용·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 창원 전역 확대, 한국지엠 고용노동부 직고용 명령 이행 촉구 등 지역 현안 관련 대정부 건의안은 만장일치 통과로 단합된 모습을 보였다. 정치적으로는 급작스러운 원내 지형 변화에 의장단 선거, 탈원전 정책 폐기 촉구 결의안 표결에 민주당 의원들이 '정치력 부족'을 드러내 지지 시민들에게 비판을 받은 점이 눈에 띄었다. 한편으로는 의원 개인 소신이 의정에 녹아들어 특정 정당 중심에서 벗어난 민주적 정치 운영이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끝 >

▲ 창원시의회 경제복지여성위원회의 현장 활동 모습. /경남도민일보 DB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