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방사성 물질 라돈이 창원 아파트에서도 검출됐다. 전주 신축아파트 건축자재에서 촉발된 라돈 공포는 수원·부산을 거쳐 창원으로 옮겨왔다. 아파트 문제는 침대나 온수매트와는 궤가 다르다. 침대는 매트리스를 버리면 되고, 온수매트는 대체할 제품이 많다. 하지만 수억 원을 들여 마련한 내 집을 버릴 수도 없고, 교체하기도 쉽지 않다. 이번에 문제가 된 것은 인테리어용 '대리석 자재'다. 창원의 한 아파트는 라돈 간이측정기로 측정한 결과 실내 권고 기준치 3배가 넘는 라돈이 나왔다. 시공사는 전문기관을 통해 실내공기 질을 측정한 뒤 문제 해결에 나서겠단 입장이다. 최초로 문제가 불거졌을 때보다는 수용적인 자세다.

사실 이 같은 문제는 시공사 문제보다 정책 당국의 안전 불감증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라돈의 위험성이 오랫동안 제기돼 왔지만 정책 당국은 늘 뒷짐만 졌다. 지방자치단체는 법적 근거가 없어 우리 쪽에서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입장이다. 그렇지만 주민 건강을 더 생각했다면 시공사를 압박하거나, 빠른 시일 내 정밀 측정에 나설 수 있는 방법은 있었을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집값 하락을 걱정한 '로키 전략'을 내세웠지만 결국 '숨겨두고 문제 해결을 찾아보겠다'고 한 것으로 비쳤다.

라돈 논란을 가장 빨리 끝낼 수 있는 방법은 아파트 입주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잘못된 것을 바로잡겠다는 결단력이라 본다. 경남지역 한 아파트는 문제 석재가 상당부분 시공된 상태였지만 전부 뜯어내 재시공에 들어갔다. 이는 주민들의 건강과 아파트의 가치를 고려해 내린 결정이었다.

박종완.jpg

감히 부탁드린다. 이제라도 시민이 불안에 떨지 않도록 정책 당국이 관련 제도 마련에 힘써주길.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