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추진하는 김해 신공항 건설계획이 논란을 빚은 애초 이유는 알다시피 소음과 안전문제다.

북서쪽 V자로 설계된 신설 활주로가 완성되면 뜨고 내리는 비행기 굉음으로 주택가 소음피해가 말할 수 없이 크고 전방에 높은 산이 버티고 있어 안전에 심각한 위험이 따를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일대 주민의 결사반대로 분위기가 환기됐다. 이번에는 부울경 동남권 관문공항검증단이 사업의 부당성을 성토하고 나서서 국면은 더욱 경색되는 양상이다. 중간보고서에 따른 잠정결론이기는 하지만 활주로 하나를 보완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단순한 확장책으로는 김해 신공항이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의 역할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믿을만한 진단을 내놓은 것이 그것이다. 한마디로 계획의 대폭 수정 내지 입지 선정의 재검토를 시사한 셈이다.

부울경 김해 신공항검증단은 경남지사를 비롯해 부산과 울산시장이 동남권 상생협약을 통해 김해 신공항 문제에 공동 대처키로 합의하면서 사실상 민관이 서로 협력하는 성격으로 만들어진 자생 기구다. 자치단체장들이 하나같이 현 김해공항을 넓혀 관문공항의 기능을 부여하겠다는 국토부의 구상에 대해 반론을 제기했으며 검증단은 그에 따라 심층 검증 작업에 들어갔고 이제 그 결과물이 나온 것이다. 주로 소음과 안전이 쟁점이지만, 시설과 운영, 이용객 수요 등 공항 일반의 행정적 미래 타진이 병행된 것은 부연 설명이 필요치 않다고 할 것이다. 수치를 들어 증명함으로써 반박의 여지를 없앤 것이 좋은 예다. 검증단의 주장이 진행 중인 신공항 용역작업에 변화를 줄지, 근본적으로는 국토부의 항공정책 기조를 바꿀 수 있을지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국토부가 권위를 앞세워 3개 광역단체장의 입장을 돌아보지 않거나 검증단의 활동상을 무위로 돌리고 사업을 밀어붙이면 후폭풍이 만만찮을 것은 물어보나 마나다. 모든 것을 원점으로 돌려 다시 밑그림을 그리는 한이 있더라도 현지의 여론은 존중돼 마땅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