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 연령대는 '신중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최근에야 용어로서 정립되었다. 해방 이후 출생률이 폭발적으로 높았던 베이비붐 세대이기도 하다. 5060세대는 2015년 인구의 25.5%를 점했으며, 2025년경이면 31.5%로 가장 많은 인구 분포를 보일 것이다. 신중년은 자신의 분야에서 중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여유 있는 세대로 생각되기 쉽지만, 현실은 다르다. 실업난과 조기 퇴직의 여파로 일자리가 불안한 연령대에 속한다. 게다가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청년과 노인 세대에게 집중되면서 그동안 정책에서도 소외되어 있었다. 지난해 이후 정부는 '신중년 인생3모작 기반 구축 계획', '신중년 일자리 확충 계획' 등을 차례로 발표함으로써 이 세대의 일자리 정책을 마련하는 일에 뛰어들었다. 신중년은 퇴직이 가장 많은 연령대이지만 재취업 수요도 많은 점을 비로소 고려한 것이다. 정부는 신중년을 주된 일자리, 재취업 일자리, 사회공헌 일자리로 이어지는 '인생3모작'의 경로에 있는 연령대로 설정했다. 주요한 정책으로는 취업·창업·귀농 지원, 사회공헌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데는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재취업 일자리는 퇴직 이전 일자리의 처우를 바라는 신중년 세대의 욕구와 상충하고 귀농 지원은 도시와 농촌의 문화적 차이나 자녀 교육 문제 등 복합적인 과제를 안고 있다. 또 사회공헌형 일자리도 실제 참여자의 수요와 얼마나 부합하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사회공헌형 일자리의 보수는 대부분 소정의 활동 수당에 가깝고 소액에 그칠 가능성이 커 생계 대책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최근 정부는 74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신중년 일자리를 2만 5000개 만들겠다고 장담한 상태지만 그중 대부분은 사회공헌형이다. 중요한 건 환경과 인프라의 구축이며, 수요자가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다.

정부는 수요자의 능력과 욕구에 맞는 직무 환경을 구축하거나 법과 제도를 개편하는 데 집중하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