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무 창원시장이 민주주의 기념관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민주성지 창원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은 허 시장의 공약이기도 하다. 정부가 추진한 한국 민주주의 전당의 창원 유치는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창원시의 독자적인 기념관 건립이 추진되어 다행스럽다. 창원시는 3·15의거 당시 항쟁의 발원지로 평가받고 있고 1000여 명의 시민이 집결했던 민주당 마산시 당사 자리에 있는 건물을 매입하여 기념관으로 쓸 계획이라고 한다.

마산에는 3·15의거와 부마항쟁 등 한국 현대사를 바꾼 민주주의 유적지나 기념 장소가 산재해 있다. 마산중앙부두의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구암동의 국립3·15민주묘지, 3·15의거의 중심 무대인 오동동, 김주열 열사의 모교인 마산용마고,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발포한 총탄 흔적이 남아있는 무학초등학교, 그리고 부마항쟁의 중심지인 경남대, 창동, 오동동 일대 등이다. 김주열 열사만 하더라도 마산 앞바다, 오동동, 용마고, 3·15민주묘지까지 마산 전역에 관련 유적이 있다. 마산 전체가 민주화운동 유적지라고 할 수도 있고, 당국의 산발적이고 주먹구구식인 행정을 떠올릴 수도 있는 일이다. 창원시는 이번 기회에 마산 민주화 유적이나 기념 건물의 체계적인 동선을 만들어 창원 민주주의 벨트로 육성함으로써 창원이 민주주의 본향임을 알리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3·15의거기념비나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등 이미 있는 유적지나 건축물의 관리도 부실하다는 말이 나오는 만큼 이 부분의 정비에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창원시는 역사적 역할에 걸맞지 않게 푸대접받고 있는 듯한 3·15의거와 부마항쟁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도 노력해야 한다. 수년 전 김주열 열사 시신이 마산 앞바다에 투기된 과정을 증언하는 인물이 나오거나, 부마항쟁에서 사망자가 발생했음이 확인되는 등 두 사건은 여전히 산적한 진상규명이 남아있다. 또 3·15의거의 역할이 4·19의 기폭제에 그치지 않은 만큼 4·19처럼 혁명의 명칭이 부여되어야 하며, 부마항쟁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