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인증하는 친환경 쌀은 농약을 치지 않은 논에서 생산하는 안전한 쌀이다. 내년부터 모든 학교급식에 무농약 친환경쌀을 공급하겠다는 경남도와 도교육청의 결심은 그래서 매우 고무적이다.

학교에 공급하고도 남을 물량이 소비처를 기다리던 터라 농가는 학교급식 공급확대를 꾸준하게 요구해왔고 학부모나 학교도 아이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꾸준히 그 해결책을 고대하고 있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내년부터 고교까지 무상급식 범위가 넓어진 만큼 유치원을 비롯해 초중고에 다니는 모든 학생이 건강한 쌀로 지어진 밥을 먹을 수 있게 됐다. 학부모는 시름을 덜고 농가는 소득원을 확보할 수 있어 상생의 전기를 맞이하게 된 것으로 평가된다.

친환경쌀은 학교 무상급식이 이제 제 궤도에 들어섰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랄 수 있다. 반찬류에 쓰이는 각종 채소나 과실류에 이르기까지 친환경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농산물로 전환해야지만 비로소 급식의 완성단계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에 따라 독자적으로 역내서 생산되는 건강한 농산물을 학교 급식 재료로 공급함으로써 안심하고 식사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게 하는 한편 농가소득을 증대시켜 양방향 이익을 얻는 지자체도 없지 않다. 그런 지역은 친환경쌀 공급에 따라 정부미 대체용으로 발생하는 결손 비용을 보전받아 한결 부담이 덜어지는 효과를 본다. 전임 지사에 의해 파탄 나 학부모와 학생들의 눈물을 자아내게 한 학교 무상급식이 이로써 양적 팽창만이 아닌 질적 보상을 받는 상황으로 역전된 것이다.

그러나 실행을 위한 준비작업은 지금부터가 제격이다. 친환경 벼를 재배한다지만 전적으로 믿어도 좋은가. 이 질문을 무의미하게 만들려면 충분한 감시체제가 가동되고 있다는 믿음을 줘야 한다. 그러자면 농가가 자율적인 협력 조직을 갖춰 민관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 산지 협동화를 통한 공적 개념 도입을 권장할만하고 행정은 확인하고 또 확인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소비 주체인 학생과 학부모들의 현장 탐방 기회를 자주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 실제 체험을 통해 친환경 농산물이 어떻게 길러지는지를 알면 상호관계 정립에 도움이 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