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에도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지난 26일 문을 열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도시재생과 뉴딜사업을 본격적으로 결합한 사업들이 지역마다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재생사업과 뉴딜사업을 조악하게 결합하면 결국 기존 공공근로 사업의 연장선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2016년까지 경남 도시재생사업은 김해와 마산에서만 실행되었다. 하지만 2017년부터 도내 총 14곳에서 도시재생사업이 실행되고 있거나 시행될 예정이다. 2018년 선정 지역에선 향후 3∼4년간 140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고 한다. 지자체가 나서서 지역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도시재생사업을 벌이는 모양새는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

인구감소로 인해 소규모 지역사회가 소멸할 위기에 놓인 지자체 처지에서 뭐라도 하려는 태도를 두고 탓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정작 어떠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것인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다시 말해 도시재생사업의 원래 성격은 도시 규모가 확장되면서 과거의 상권기능을 상실한 원도심의 회복을 목표로 삼았다는 점이다.

2016년까지 벌어졌던 마산과 김해의 도시재생사업들이 전형적인 사례이다. 다른 나라이긴 하지만 스페인 빌바오시도 과거의 공장이나 공단지역을 문화관광지역으로 성격을 탈바꿈하면서 도시재생에 성공하였다. 쇠락하는 지역을 다시 번성하는 지역으로 바꾸려는 노력은 분명 필요하다. 그러함에도 1980년대부터 온천개발 붐을 일으키며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발전이라는 장밋빛 전망에만 집착해 결국 부도로 내몰린 일본 소도시들의 부정적인 사례도 존재한다.

이런 실수나 오류를 범하지 않으려면 지자체마다 도시재생사업의 내용과 목표를 분명히 해야 한다. 중앙정부가 돈을 지원한다고 하니까 모두가 비슷한 사업을 벌이는 코미디와 같은 모습을 더는 연출하지 말아야 한다. 지역마다 사정이 다르다고 한다면 해법 역시 달라야 한다.

바로 지역이 지닌 독자성을 고려해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내용 역시 그 지역에서만 찾을 수 있는 독특한 내용으로 채워져야 한다. 도시재생사업의 내용을 채우려면 먼저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