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스웨덴 출장에서 '라곰(Lagom)'이라는 단어를 배웠다. 스웨덴어로 '적당한', '충분히', '딱 알맞은'을 뜻한다. 소박하고 균형잡힌 생활, 공동체와 조화를 중시하는 삶의 경향을 나타낸다. '얀테의 법칙'과 함께 스웨덴 사람들의 정서 또는 덕목을 일컫는 표현이다. 얀테의 법칙은 '잘난 척하지 마라'는 게 핵심 내용이다. 당신이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남들만큼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남들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등 인터넷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라곰의 어원을 찾아봤더니 '라겟 옴(Laget om)'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에 둘러싸인 팀' 정도의 뜻이다. 스웨덴과 덴마크·노르웨이·핀란드 등 북유럽 조상인 게르만족 바이킹 전사들이 둘러앉아서 커다란 뿔 술잔의 술을 나눠 마시던 전통에서 비롯됐다는 설이 있다. 맨 처음 사람부터 마지막 사람까지 뿔 술잔이 골고루 돌아가려면, 중간 사람들은 적당히, 알맞은 양을 마셔야 한다. 앞사람이 많이 마시면 뒷사람이 마실 게 없고, 앞사람이 적게 마시면 뒷사람이 몰아 마셔야 한다. 한국사회에서 이른바 '화합주'와 비슷한 셈이다.

라곰을 동양철학의 '중용(中庸)'에 빗대기도 한다. 최근 국내에서 유행한 라이프스타일인 덴마크의 '휘게(hygge)', 일본의 '소확행(小確幸)'도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고 라곰이 뜻하는 '적당한'이 한국사회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쓰는 '대충'과는 다르다. 일할 때는 확실히 하되 일에 매이지 않는 '균형 있는 삶'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

이러한 삶의 방식이 한국사회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이유는 뭘까. 노동에 대한 인식과 가치가 달라진 데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여성에만 해당하는 건 아니다. '적당한 노동'은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노동자에게 일을 몰아서 시켜 뽕을 뽑고, 일거리가 없을 때는 쉬라고 하는 건 적당한 노동이 아니다. 과로사 끝엔 긴 휴식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