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문화재단 대표이사의 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다. 지난 4월 안상수 전 시장이 임명한 신용수 전 대표이사의 사임 이후 7개월이 지나도록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허성무 시장 체제 이후 대표이사 공모가 있었지만, 17명이나 되는 지원자 중 낙점된 인사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창원시가 창원문화재단 설립 및 운영조례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지역 외의 인사 영입으로 방향을 튼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대표이사 규정을 비상근으로도 할 수 있다고 규정을 바꾼 것 때문이다. 신임 문화예술본부장까지 다른 지역 출신이 선정되었고, 허 시장이 지역 문화예술인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내용의 발언을 함으로써 타지역 인사의 대표이사 영입이 유력하게 점쳐지는 분위기다. 구체적으로 거론되는 인물도 있다.

창원시가 지역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는 수장 자리를 다른 지역 출신에게 맡긴다면 장단점이 고루 있을 것이다. 지역 사정을 잘 모르는 이에게 지휘권을 준다면 업무 능력에서 한계를 드러낼 수 있고, 지역 문화재단이 존재하는 이유가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있는 만큼 지역 출신에게 대표이사 자리를 맡기는 것이 합당하다는 반응이 나올 수도 있다. 지역 예술인들은 대체로 이러한 생각이 우세한 듯하다. 대표이사 자리를 비상근직으로 하는 것이 합당한지도 의문이다. 그러나 지역 문화계일수록 고질적인 지연이나 학연 등 연고주의의 폐해가 심각한 이상, 여기에서 자유로운 다른 지역 출신이 영입된다면 지역 문화계에 신선한 바람을 넣을 수도 있다. 연고로 묶인 지역 인사에게 채용비리 등 적폐 청산을 맡길 수 없는 노릇이다. 지역의 한계에 갇히지 않고 국내와 국외를 포괄하는 문화적 전망과 역량을 갖춘 인사라면 출신에 구애받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

창원시는 문화재단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서 처음부터 지역인사가 배제되었다는 지역 문화계의 반발을 고려해야 한다. 창원시가 다른 지역 인사를 영입하더라도 불필요한 논란을 야기하지 않으려면 논의 과정을 모두 열어놓는 태도가 요구된다. 지역문화계도 타지 출신의 문화재단 대표이사 영입에 대해 개방적일 필요가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