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지진 1년째 원인도 몰라
활성단층지도 2036년에야 완성
지질연구 지원·인재 육성 시급

지진 피해를 줄이려면 지질 전문연구와 전문가 양성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항지진이 발생한 지 1년이 됐지만 아직도 원인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에선 지열발전소 탓이라고 분석하지만 자연발생적인 지진이라는 의견도 적지않다.

지난해 11월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은 우리나라가 지진을 관측한 1978년 이후 두 번째로 큰 지진이다. 2016년 9월 12일 경주(규모 5.8)에서 지진이 발생한 지 1년 만에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이라 주기성을 주장하는 이도 있었지만 경주와 포항은 각기 다른 단층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원인분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포항지진 이후 인근 30여 곳에서 모래와 진흙 분출구가 발견되면서 지열발전소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런 분출구들은 지하 퇴적물 사이에 채워져 있던 물이 지진으로 흔들리며 상부층으로 올라오면서 생기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2016년 경주, 2017년 포항 지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정부는 정확한 원인을 찾고자 '포항 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 분석 연구단'을 꾸렸지만 내년 2월에 결과가 나온다. 무엇보다 한반도 내 활성단층지도가 없어 앞으로도 지진에 대비하기가 어렵다.

포항지진 당시 원인단층을 놓고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혼선을 빚기도 했다. 두 기관은 지진 발생 이튿날 활성단층 위치를 확인했다 1주일 뒤인 지난 11월 23일 지진의 발생 위치와 깊이를 수정했다.

경주 지진도 원인 단층을 못찾아서 헤맸다. 정부는 당시 '한반도 단층구조 조사와 평가기술 개발' 연구를 신설하고 25억 7500만 원을 투입했지만 한반도 활성단층 지도는 오는 2036년에야 완성될 전망이라 피해 예방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지진은 지반 내 물성 변화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지질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지원하고, 전문가를 양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지진예측 기술개발도 뒷받침해야 한다.

김광희 부산대 지질학과 교수는 "현재 과학수준으로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지질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이뤄진다면 특정 지역과 지진 규모 정도는 예측할 수 있다. 지진 규모만 예측할 수 있어도 피해저감 방안과 대응책 마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해안가에 핵발전소를 비롯한 중요 시설이 많은데 사고를 막기 위해 지진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활성화 단층은 이미 국내에 많은 것으로 조사됐지만 현재와 미래에 이들 단층이 움직여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병행돼야 하지만 전문가가 적어 조사가 원활하지 못한 것이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윤수 포항공대 교수도 "지반 물성 변화를 연구하고 독립적인 연구를 종합하면 정확도가 높은 지진예측 기술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진 예측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복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지질과 지진을 연구할 수 있는 인재가 부족한 상황을 지적하며 인재 육성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