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에 빠진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자금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빚의 수렁에 빠지게 되는 경남지역의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뼈아픈 소리가 들린다. 국세청에 따르면 학자금 대출을 받은 도내 청년들의 미상환율은 지난해보다 10%포인트 가량이나 증가했다. 미상환율이 증가한 것은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래 처음 벌어진 일이다.

취업 후 학자금 체납액도 급증했다. 졸업 후에는 학자금 대출을 갚아야 하는데 취업을 하더라도 소득이 낮아 계속 체납을 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중이라니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청년층의 부채 악순환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대 청년들의 대출 비중은 전체 가계대출의 10분의 1을 웃돌고 있는데 대출 액수는 작지만 실제로 대학생 다섯 명 중 한 명꼴로 학자금 대출을 받고 있고 그밖에도 생활비 용도로 소액대출을 받는 청년들을 주위에서 쉽게 마주치게 된다. 이들 중 상당수는 졸업을 하고도 취업 준비 기간이 늘어지다 보니 상환이 자꾸 밀리게 되어 또다시 손을 빌리게 된다. 특히 청년들에게는 은행권의 문턱이 워낙 높다 보니 모바일 플랫폼까지 진출하여 공격적인 영업을 펼치고 있는 제2, 제3 금융권의 문을 두드렸다가 고금리의 덫에 물리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청년층이 워크아웃을 신청하거나 개인파산을 신청하는 수치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면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 신용회복위원회 등에서 저금리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그마저 갚지 못하는 청년들도 늘어나고 있으니 근본 대책이라 할 수 없다. 최악의 경우 주기적으로 부채탕감을 하거나 신용불량 기록을 삭제하고는 있지만, 청년층의 자금수요를 고려하여 금융제도를 재설계하지 않으면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는 어렵다.

경남을 비롯하여 영남지역 청년들의 빚이 쌓이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지역 청년들의 취업난이 극심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부채에 덜미를 잡힌 상황에서는 노동시장에서의 선택지도 더 좁아질 수밖에 없어 늪은 더 깊어진다. 청년의 생활주기를 고려한 입체적인 사회정책과 금융정책의 보완이 시급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