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본부 측 환원 필요성 제기 "출동시간 지연·중복운영 문제"
창원본부 분리체계 유지 주장 "대형재난 동시전달…문제없어"

11월 9일은 '소방의 날'이다. 경남에서는 경남소방본부와 창원소방본부의 통합 문제가 끊이지 않는 논란거리다.

3년 전 경남발전연구원은 초기 출동 대응, 대형재난 보고체계 등을 지적하며 창원소방본부를 경남도로 환원해야 한다고 했었다. 그러면서 통합 문제가 제기됐다. 창원소방본부는 2010년 창원·마산·진해시 통합 후 2012년 1월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경남소방본부로부터 분리됐다.

2015년 4월에 나온 경남발전연구원의 '창원시 소방사무 시범실시에 대한 운영결과 및 평가'에서는 창원에서 119 신고 시 경남소방본부로 연결돼 다시 창원소방본부로 넘기는 과정에서 출동 '골든타임' 1분가량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창원소방본부로 1782건 신고를 전달했고, 창원으로부터 176건을 이첩받았다. 단순 계산해도 지난해 도내 하루 평균 5.36건 출동시간이 지연된 셈이다. 경남소방본부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지역에서 신고하면 고성으로, 성산구 불모산터널에서 신고하면 김해로 접수되는 등 주로 창원시와 타 시·군 경계지역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했다.

대형재난 보고체계도 문제다. 한 예로 지난 2014년 8월 25일 오후 2시 52분께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에서 집중호우로 시내버스가 하천에 빠지면서 1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된 사고 당시 경남소방본부는 언론보도를 통해 오후 4시께 상황을 인지해 대응이 늦었다고 돼 있다.

경남소방본부 한 관계자는 "창원소방본부로 전달할 때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출동 시간이 1~2분 정도 지체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남소방본부 내에서 중복 운영 문제로 창원소방본부를 환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창원소방본부는 인구 규모가 비슷한 울산소방본부와 비교해 화재 사건·피해가 현저히 낮은 점을 근거로 소방본부 분리체계가 긍정적인 면이 크다고 했다. 이와 관련,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8년(10월까지) 창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모두 3358건(피해액 186억 원), 울산은 같은 기간 5573건(351억 원)이다. 창원시 인구는 105만 명, 울산시는 116만 명이다.

또 관할 경계지역에서 신고가 이첩되는 것은 전국 공통적인 현상이라고 했다. 경남과 경북, 경남과 전남 경계 등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이다.

창원소방본부 관계자는 "신고는 현장과 가장 가까운 곳으로 접수되고 가까운 센터가 출동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 대형재난은 무전 공동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파된다. 지난해 창원터널 사고 당시를 보면 창원소방본부가 대응하는 데 큰 문제는 없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6년이나 지난 시점에서 통합은 의미가 없다. 소방사무 외에도 경남도에서 창원시로 옮겨진 사무가 많은데 그런 것은 경남도에서 돌려달라고 안 하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창원소방본부는 내년 1월 풍호동 진해구청 인근에 새 청사 문을 연다. 창원소방본부는 독립 청사가 없어 진해구 대흥동 옛 진해소방서 건물을 임시 청사로 사용해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