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유년시절 경험 고스란히
엄마와 이별·익숙지 않은 슬픔

떠나는 자와 남은 자 중 누가 더 슬플까. 어린 시절 시끌벅적했던 명절이 끝나고 모두가 각자 제집으로 떠나면, 할머니와 남은 아이는 남겨진 자의 쓸쓸함을 알았다. 자신도 떠날 곳이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6살 프리다(배우 라이아 아르티가스)는 갈 곳이 없다. 엄마가 아파 세상을 떠났다. 바르셀로나가 아닌 카탈루냐 시골의 외삼촌 집에서 살아야 한다. 외삼촌 에스테베(배우 다비드 베르다거), 외숙모 마르가(배우 브루나 쿠시)가 잘해주고 사촌 동생 아나(배우 파울라 블레스)와 노는 게 즐겁지만 상처와 아픔은 아주 쉽게 찾아온다. 가끔 바르셀로나에서 함께 지냈던 할머니와 이모들이 찾아오지만 그들은 결국 또 떠난다. 프리다는 이곳에서는 아무도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며 늦은 밤 가방을 꾸리지만, 어두워서 내일 떠날 마음을 먹는다.

영화 <프리다의 그해 여름>(연출 카를라 시몬, 스페인)은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영화가 끝나고 '나의 엄마 네우스에게 바칩니다'라는 문구가 나올 때 먹먹함이 더해진다.

▲ 주인공 6살 프리다는 늘 자신도 떠날 곳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늘 홀로 남겨지는 것이 두렵고 슬프다. /스틸컷

감독이 자신의 어린 시절을 담은 작품인 만큼, 영화는 프리다의 시선으로 세상을 본다. 프리다는 아주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 아나도 마찬가지. 그래서 큰 사건이나 위기가 없는 전개임에도 둘의 말투와 표정에서 극의 긴장감이 돌고 이완된다.

프리다는 외숙모에게 괜한 고집을 부린다. 외삼촌이 아나에게 건네는 다정 어린 말투와 손짓도 서운하다.

프리다는 우연히 동네 작은 숲에서 본 성모 마리아 조각상을 엄마라고 속삭인다. 외숙모 가방에서 훔친 담배를 엄마 선물이라며 두기도 한다. 프리다는 울적할 때마다 그곳을 찾아 조각상을 쓰다듬는다.

▲ 주인공의 사촌 동생과 외삼촌 그리고 외숙모. /스틸컷

프리다는 스스로 잘 안다. 외삼촌 집에서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 말이다. 하지만 이는 어른들이 바라는 것일 뿐이다. 슬픈데 울지 않고 외롭지 않은 척하기란 참 어렵다. 이는 괜한 미움으로 자라난다. 그래서 아나와 숨바꼭질을 하며 숲 속에 동생을 잠시 두기도 한다. 이 탓에 아나는 팔을 다치고 속상하고 미안한 프리다는 외숙모를 위해 꽃을 꺾어 마음을 전한다.

어느 날 물놀이를 하던 중 아나가 물에 빠지고 만다. 프리다는 자신이 발이 닿지 않는 곳에서 수영을 할 수 있다고 아나에게 말했을 뿐이었다. 크게 우는 아나를 안은 외삼촌은 프리다에게 화를 낸다. 프리다는 그때도 깊은 물 속에서 발을 쉴새 없이 움직여야 했다. 빠지지 않으려고. 프리다는 줄곧 외삼촌 집에서 이렇게 생활했던 게 아니었을까.

프리다는 "난 언니를 사랑해"라고 말하는 아나를 좋아한다. 또 생리통 탓에 누워있는 외숙모에게 아프지 말라고 말한다. 외삼촌과 아나가 춤을 추면, 그다음에는 프리다가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이렇게 새가족이 되는 걸까….

▲ 슬퍼도 울지 않는게 점점 익숙해지는 프리다. /스틸컷

목욕을 끝내고 침대에서 방방 뛰어놀던 프리다와 아나. 뭐가 재미있는지 까르르 웃는다. 이를 본 에스테베는 침대에서 뛰지 말라고 경고하며 둘과 장난을 친다. 너무나 즐겁다. 그런데 프리다는 왈칵 울음을 터뜨린다. 왜 눈물이 나는지 알 수 없다. 그러곤 영화는 끝이 난다.

1993년을 배경으로 한 카탈루냐의 아름다운 여름날, 눈과 마음이 시리다. 감독은 자신이 새가족과 함께 지냈던 그 여름날을 이렇게 완성했다. 영화는 '67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데뷔작품상과 제너레이션 K플러스 대상을 받았다.

창원 씨네아트 리좀에서 볼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