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인권과 존중을 통해 인권친화적인 학교 환경조성을 골자로 하는 '경남학생인권조례'에 대한 찬반논란이 거세다. 그러나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인권동아리를 만들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3일 김해분성여자고등학교 학생인권수다회 '지금'은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맞아 세상을 향해 "학생다움이 우리를 가둘 수 없다. 나는 나답게 학교생활을 하고 싶다"고 외치기도 했다.

학생인권조례가 요즘 화두이다. 반대움직임도 있지만, 이미 선진국 대열에 들어선 우리나라도 물질적 풍요뿐만 아니라 유엔이 권고하는 인권문제를 학생이라고 예외로 하기에는 시대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지금 바꾸지 않으면 앞으로도 바뀌지 않아요"라며 평소 하지 않던 교문지도를 재개하겠다는 학교방침에 학생들이 대자보를 통해 의견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학생들이 교문지도를 반대하는 대자보를 자발적으로 붙이는가 하면 붙임 종이를 이용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이 일은 살아있는 민주주의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셈이다. 묻고 답하는 것은 가정에서나, 어떤 조직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의사소통 방식이다. 실제로 학생인권조례의 찬반을 떠나 학생들이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결정하고, 나아가 사회민주주의 기초를 만들어가는 배움의 과정으로 보면 다소 기성세대들의 우려가 있더라도 한 걸음 더 나아갈 수밖에 없다.

이미 고등학생들은 예비 성인이다. 굳이 선조들의 세상을 들여다보면 당시에는 혼인하는 나이이기도 했다. 마산 3·15 부정선거와 일제하 광주학생운동 등을 역사 속에서 들여다보면, 고등학생들이 주역이었다. 찬반논란은 사회발전을 위한 진통으로 볼 수 있지만, 초등학교 앞에 선정적인 유인물을 뿌린 집단들은 크게 반성할 일이다. 그 내용이 가관이다. '학생인권조례 = 맘대로 섹스'라며 선정적인 내용의 만화가 그려진 '경남학생인권조례 반대 전단'이 뿌려진 것을 우리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도를 넘으면 시민 여론이 용서하지 않는다. 현재 학생인권조례는 서울·경기·광주·전북 등 4곳에서 시행하고 있다. 경남도 선례를 참고하여 행동할 일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