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 인구 감소세는 비단 창원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제외한 전 지역이 거의 같은 지경에 놓인 전국적인 상황으로 중앙은 계속 인구가 불어나는 반면 지방은 침체되는 양극화 현상에 의한 것이다. 특히 도내 농촌지역은 증가정책은커녕 한계선을 정해놓고 그 밑으로 인구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코자 안간힘을 쏟고 있으나 별로 신통한 효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출산율은 줄어드는 대신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그중에서도 인구탈출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3개 시 통합 이후 6~7년 사이에 4만 명 가깝게 줄어들어 이대로 가다가는 전체 성장세가 둔화하고 도시공동화 현상이 올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확산하는 중이다.

창원시 인구정책은 출산을 장려하고 태아보험을 권장하는 등 출산과 보육에 중점을 두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제일 시급한 당면 과제임에는 이의가 있을 수 없다. 김해나 함안 쪽으로 주거지를 옮기는 젊은 층이 늘어나는 이유는 직장 때문이다. 조선산업이 불황에 빠지면서 새 일터를 구하는 사람들이 주변 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기업으로 진출하는 경향이 증가함으로써 인구절벽을 초래한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일이다. 통째로 주거지를 바꾸는 가족단위가 늘어나기 때문에 한번 빠진 인구 수는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다. 일자리를 늘리지 않거나 주거안정이 도모되지 않는 한 떠나는 사람은 늘면 늘었지 줄지는 않을 것이다.

앞으로 4년 동안 1300억 원을 투자해서 인구를 늘리기 위한 각종 인프라 사업과 제도개선에 나서겠다는 창원시의 자체 계획이 얼마나 성과를 낼지는 속단하기 어렵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전담팀을 만들어서라도 속도를 높일 만한 목표점이기는 하다. 공무원들에게 할당하는 식으로 친인척 주소이전을 유도하거나 위장전입을 통해 서류상 머릿수를 채우는 얄팍한 행정기교로는 절대로 도달할 수 없는 언덕이라는 것을 재인식해야 한다. 도시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으로 장기적이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 꾸준하게 추동해나가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