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항쟁이 일어난 지 39년째이다. 세월이 많이 흘렀고 엄혹한 시절을 지내오면서 부마항쟁의 민주주의를 지켜내고자 했던 숭고한 외침을 기억하는 이들은 많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인 한 민주주의를 지켜내고자 떨쳐 일어났던 이 역사적 사건은 결코 묻히거나 잊힐 수 없다. 경남도민의 자랑이며 긍지로 삼을 의무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박정희 독재 정권의 억압에 저항하여 일어난 부마항쟁은 부산에서 10월 16일 시작되었고 경남에서는 18일 시작되었다. 따라서 공식적인 기념일은 처음 일어난 날인 16일로 되었다. 지난 16일 부마항쟁 관련 단체들은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범시민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위원회는 전국 100만인 서명을 받아 국회에 제출하고 내년 40주년에는 국가기념일 기념식을 열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창원의 부마항쟁기념사업회도 서명운동을 위한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기억하고 기념해야 할 역사를 지켜내려면 시민의 적극적인 지지와 성원이 있어야 한다. 전국적으로 100만인 서명을 받겠다는 목표가 제시하는 것도 역사를 지켜내기 위함이다. 기념사업회들의 노고를 덜어주고 그들과 함께 마음을 합쳐야만 도민의 긍지이며 자랑인 부마항쟁을 영원히 기억할 수 있는 반석에 올려놓을 수 있다. 대구의 2·28민주화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4·3 기념일 등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한 역사적 희생에 대한 치유와 보존에 의미 있는 대국민 메시지를 주기도 했다.

민주주의가 대한민국이 지켜내야 할 가장 소중한 가치이며 그것을 지켜내려면 국가적 기념과 기억은 당연한 요구이다. 국가기념일로 제정되는 것은 당연하며 확실한 보존을 위한 진상조사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조사 시한을 정해 놓는 것은 희미해진 기억을 굳이 들추지 않겠다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번에 고 유치준 씨 현장조사를 둘러싼 불미스러운 오해들은 다시 생겨서는 안 되는 것이다.

더 늦어지면 그만큼 어렵고 제대로 된 기억을 남길 수 없게 된다. 경남도민이 그 위대한 작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