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나의 선물
혼자 끙끙 고민하지 말고
타인과 관계 속 행복 찾기
따뜻해진 나 자신 만날 것

기분이 안 좋을 때에도 여행이나 소개팅 약속을 잡는다면 언제 그랬냐는 듯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많이 했다. 평소에 나는 부정적 생각이나 감정에 저항하느라 힘들었다. 그런데 이런 이벤트가 있으면 내 마음이 저절로 그런 일들을 향하기 때문에, 내가 부정적 생각에 저항할 필요가 없어진다.

최근 술자리에서 한 여성이 내 옆에 앉았다. 그날따라 나는 말이 잘 나오고, 유머도 괜찮았다. 그 여성이 나를 보며 크게 웃었다. 그날 낮에 분명 기분이 안 좋았지만 술자리가 끝나고 집에 오는 길에 기분이 날아갈 것 같았다. 대학생 때는 매일 이렇게 살았던 것 같다. 그때는 그것이 내 세상의 전부였다. 그래, 사람은 이렇게 단순하게 사람들과 웃고 떠들어야 한다. 그러면 내가 했던 고민도 저절로 까먹게 된다.

만약 우리가 행복을 위해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한다면 무엇을 해야 할까? 프로이트는 우리가 움직이는 근본적 동력이 성적(스킨십)욕구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아들러는 우리가 남들보다 우월해지고 싶은 욕구에서 모든 행동이 나온다고 하였다. 이 두 심리학자는 대단한 사람들이니, 이 두 사람의 이론들만 보자. 우리는 성적인 만족을 느끼거나, 남들보다 우월적인 위치에 있을 때 만족을 얻을 것이다. 내가 이 두 가지 요소를 만족시킨다면 나의 감정도 따라서 분명 좋아질 것이다. 간단하다. 그렇게 해주자.

내가 소개팅을 하거나, 술자리에서 여성을 웃긴 것은 이 두 가지를 간접적으로 만족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기분이 좋았던 것이다. 지금 기분이 좋지 않더라도, 그 두 가지를 만족시키는 행동을 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기분이 괜찮아질 것이다. 그것은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자연법칙과도 연관되어 있다. 감정 자체는 저절로 따라올 뿐이다. 그러니 감정에 집착하지 말자. 내가 공황장애가 나았다고 확신했던 순간은 얄미울 정도로 부정적 감정을 무시하고 있는 나를 발견했을 때이다. 부정적 감정은 친구에게 놀자고 전화 한통만 하면 쉽게 없어질 테니깐.

혼자 행복을 위해 고민할 필요 없다. 아들러는 '관계' 속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혼자 끙끙 앓으면서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보다 사람 속에서 술 마시고, 웃고, 떠드는 것이 훨씬 더 정신건강에 좋았다. 관계란 것은 인간이 생존을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그래서 우리가 행복을 바란다면 '타인과의 관계'가 개선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편이 좋다.

타인은 새로운 세상이고, 현실이다. 모든 걱정을 잊게 만드는 큰 힘이 있다. 혼자서는 부정적 감정의 무게를 도저히 견딜 수 없다. 같이 있으면 모든 것이 가벼워진다. 무섭고 버거운 일이 있을 때 친구에게 그 일을 말하고 웃어버리면 그것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된다. 옆에서 누군가가 어떤 말을 하면 순간 복잡했던 것들이 명료해진다. 우리는 타인과 함께 있을 때 비로소 안심할 수 있다. 타인 속에서 우월감도 맛보고, 안전함을 느끼고, 따뜻함도 느낄 수 있다. 혼자서는 절대 알 수 없는 세상이 바로 타인에게 있다. 그러니 이제 밖으로 나가자.

정신분열(조현병)에 걸린 사람들도 관계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 이상 타인의 말을 듣지 않기로 결심했을 때, 혼자만의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이 사람들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고, 존중해주면 기적처럼 조현병이 낫는 사례를 책에서 많이 봤다.

나는 '독립책 만들기' 모임을 계획 중이다. 일종의 글쓰기 모임이다. 원래는 바빠서 이런 모임을 안 하려고 했다. 그런데 요즘 너무 혼자서 생각하고 글만 쓰는 것 같아서, 사람들도 좀 만나려고 모임을 하기로 결심했다. 사람들과 굳이 만나서 글쓰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작품을 구상하는 것이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냥 혼자 글을 쓰면 더 빨리 작품을 쓸 수도 있다. 하지만 타인은 새로운 세상이니 사람들을 만나기로 했다. 어쩌면 그것이 더 효율적일 수도 있다.

※ 본 기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