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 과정을 지나오면서 우리 사회는 예술에 대해 배고픈 직업이라는 평판이 지배했다. 사실도 그러했다. 어렵고 힘들어야 예술이 된다는 말이 정의처럼 회자되기도 했다. 하지만 오늘날 세계는 예술의 번성 없이는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 문화융성을 표방하기는 했으나 문화와 예술에 대한 통찰과 정책적 인식 변화는 거의 없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경남은 홍준표 도정 기간에 예술 관련 예산을 줄이는 등 홀대를 하다 보니 예술산업의 활력을 도모하기가 더욱 힘들었다. 예술인 복지법에 근거한 조례제정을 한 11개 광역단체에도 끼이지 못한 것은 그 실례이다. 예술이 활력을 잃게 되면 문화가 살찔 수 없고 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데도 경남은 이를 역행해왔다.

늦게나마 조례제정의 움직임이 있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지난 12일 경남예술인 복지증진을 위한 조례제정 토론회에서는 활발한 토론이 있었다. 다른 지자체보다 늦었지만 잘 하면 본보기가 될 수도 있는 자리는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조례안에 대한 예술인들의 견해가 제시됐다. 현실을 모르는 조례가 될 것이라는 우려와 그래도 첫발은 내디디게 되었다는 기대가 교차했다.

이는 경남 예술인들이 처한 현실이 그만큼 암울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남은 조례제정을 위해 필요한 예술인 실태조사마저 2012년 이후 없는 실정이다. 이번 토론회는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는 가운데서도 발전적인 공감대는 있었다. 예술인의 범위를 현실을 잘 고려하여 소외되는 예술인이 최소화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과 예산 확보 등 경남도정이 실질적인 예술인 복지증진에 노력해야 한다는 데 뜻을 함께했다.

경남도는 도정 4개년 계획에서 경남예술인 그라민금고 설치 등 예술인 복지증진 관련 사업을 언급한 바 있다. 경남도가 의지가 있다면 보다 실질적이며 포괄적인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조례제정 과정에서 예술인들이 마음을 함께하는 것도 중요하다. 처음부터 모든 기대를 충족할 수는 없다. 멀리 보고 차근차근 예술활력을 위한 조례제정에 힘을 보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